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밀도 방목장의 아산화질소 저감방안

전문가 제언
○ 지구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국제적인 활동이 남극 오존층의 보호, 해상투기물의 제한, 신화학물질 관리제도 등으로 전개되었고, 최근에는 지구온난화 문제가 모든 정상회담의 화두가 되고 있다.

○ 온실가스를 발생시키는 산업 중에서 낙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예상 외로 높다. 영국과 같이 국내 육류소비가 많은 국가에서는 낙농업이 운수업과 대등한 온실가스를 발생시킨다는 통계를 발표하고 있다.

○ 낙농업에서는 초지조성을 위한 산림파괴에 의해 온실가스 흡수량이 감소하기도 하지만 비료, 거름 또는 폐수에 포함된 질소성분이 아산화질소로 배출될 때에 온실가스의 발생비율이 크게 증가한다.

○ 아산화질소의 지구온난화지수는 탄산가스의 310배이며, 이러한 아산화질소는 영하의 동절기에 미생물의 탈질과정에서 높은 비율로 발생한다.

○ 낙농업의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기 위해 사육가축당 육류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지만, 개도국의 육류소비도 증가하고 있으므로 국제적으로는 성인병, 비만을 동시에 치료하는 차원에서 육류 소비량 저감운동이 호응을 얻고 있다.

○ 본고에서는 낙농업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토양관리, 폐수와 거름의 활용, 질소반응 억제제의 투입, 식물과 가축의 선정, 질소성분이 낮은 사료 공급, 사료첨가제 사용 및 제한된 방목을 제시하고 있고, 이러한 대책을 복합적으로 사용한다면 효과가 상승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 아시아 국가 중 중국 일부와 한국은 고밀도 가축사육으로 인해 반응성 질소를 다량으로 배출하는 국가로 인식되고 있으므로 온실가스 감축 차원에서 국내 낙농업의 분발을 기대해 본다.
저자
J. Luo, C.A.M. de. Klein, S.F. Ledgard, C. Sagga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136
잡지명
Agriculture, Ecosystem &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82~291
분석자
이*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