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유금속자원과 장래의 수급전망
- 전문가 제언
-
○ 희유금속(rare metal)이란 학술적 정의는 명확치 않으나 공업적으로 중요하게 이용되는 금속원소 중에서 부존량이 적거나 경제적으로 제련가치가 적은 금속원소를 지칭한다. 철강의 합금원소로 이용되는 Ni, Cr, Mn, W, Co, Ti, Mo, Li 등과 자성재료, 전자광학재료, 반도체재료 등에 이용되는 Sm, Nd, Dy, Eu, Pr 등의 희토류원소를 포함하여 우리나라는 35종, 미국은 33종, 일본은 31종을 희유금속으로 분류하고 있다.
○ 희유금속은 소량의 첨가로도 재료특성과 기능이 현저하게 향상되므로 산업이 고도화할수록 희유금속의 수요는 크게 증가한다. 예를 들어 자석모터로 작동하는 전기자동차의 등장으로 영구자석용 희토류금속(Nd, Tb, Dy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플랫패널의 보급에 따라 디스플레이용 희유금속(Ga, As, In 등)의 수요가 증가한다. 예를 들어 일본의 희유금속시장은 2003년 1.18조 엔에서 2007년도에는 3.3조 엔으로 증가했으며 이러한 경상은 우리나라를 위시한 여타의 선진국도 유사할 것이다.
○ 세계적으로 희유금속 자원은 특정한 몇 나라에 집중적으로 편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Li, V, W 등은 상위 3개국의 생산량이 전 세계 생산의 80% 이상을 차지하며 희토류는 중국이 세계생산의 97%를 차지한다. 자원보유국은 이들을 전략물자로 관리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중국은 희토류를 위시한 희유금속의 비축과 수출량을 통제하고 있어 세계시장에서 희유금속은 항상 공급이 불안정한 상태에 있다.
○ 우리나라는 철강, 자동차, 전자, 반도체와 같이 희유금속을 필요로 하는 산업이 국내 경제를 지탱하는 주력산업이 되고 있어 희토류를 위시한 희유금속의 확보노력이 국가적 차원에서 다각도로 추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대책으로서 ① 정확한 수급동향의 파악과 이에 기초한 주요 희유금속의 비축, ② 해외 광산 투자에 의한 권익의 확보와 신규광산의 개발, ③ 폐스크랩으로부터 희유금속의 회수기술 개발 ④ 공급이 불안한 희유금속을 절약 또는 대체하는 재료기술의 개발 등이 필요하다.
- 저자
- Yasushi Watanab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9
- 권(호)
- 63(11)
- 잡지명
- 自動車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4~18
- 분석자
- 심*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