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전력 분야의 CO2 배출량 감축목표
- 전문가 제언
-
○ 이 보고서는 대만 정부가 2005년에 발표한 ‘지속 가능한 에너지정책의 지침’을 바탕으로 하여 2050년까지의 중장기적인 CO2 감축목표의 달성 여부, 특히 전력 분야의 CO2 배출량 및 비용을 평가하고 있다. 에너지 모델 MARKAL와 경제 모델 MACRO를 결합한 MARKA-MACRO 모델을 사용하고 있으며 여러 가지 에너지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있다.
○ 대만은 원자력을 수용하지 않는다는 기본 입장을 2005년의 에너지백서에서도 담고 있지만 이 보고서는 CO2 배출량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원자력을 이용하지 않을 수 없음을 제안하고 있다. 물론 장기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개발하고 석탄과 천연가스 이용시설에 탄소 포집저장기술을 보급할 수도 있지만 신재생에너지는 자원에 한계가 있고 탄소 포집저장기술은 아직 실용화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인프라 구축에 기간과 투자가 많이 소요되는 어려운 점이 있음을 알리고 있다.
○ CO2 감축목표에 따른 GDP 손실은 경제지표와 긴밀한 연관성이 있는데 신규 원전의 건설 및 운전 중인 원전의 수명 연장을 고려하면 GDP 손실비율이 낮아지는 반면에 그렇지 않은 경우는 손실비율이 매우 높아진다는 점도 밝히고 있다. 특히 대만의 경우에 수명 연장을 통해 원전이 운용되는 2020~2040년 기간에는 GDP 손실비율이 20% 수준에서 6.6%로 크게 감소하는데 이로부터 CO2 감축시대의 원전의 역할을 알 수 있다. 화석연료의 탄소 포집저장기술도 CO2 감축을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분석되고 있다.
○ 2009년 현재 우리나라의 총 발전설비 용량은 73,372MW 이며 전원별로는 석탄 33.0%, 원자력24.1%, LNG 24.3%로 구성되어 있다. 연간 발전량은 4,260억kWh 이며 전원별로는 석탄 44.3%, 원자력 34.1%, LNG 16.7% 이다. 우리나라의 연간 CO2 배출량은 약 5억 톤을 상회하는데 이는 주로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한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기후변화협약의 온실가스 의무감축국이 아니지만 2013년에 시작되는 제2차 공약기간부터는 의무감축국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CO2 감축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효율적인 감축기술의 개발과 적절한 감축정책의 채택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자료가 참고가 될 것이다.
- 저자
- Fu-KuangK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38
- 잡지명
- Energy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88~300
- 분석자
- 이*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