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딩 내 항균조절용 광촉매산화
- 전문가 제언
-
○ 인구증가와 함께 도시화에 의해 도심에서 빌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빌딩의 환경문제가 주민의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고 있다.
○ 국내에서도 1990년대 이전까지는 분진, 일산화탄소, NOx, 라돈, 포름알데히드 등을 실내 공기오염의 주성분으로 인식하였으나, 최근에는 휘발성 유기물질, 미생물, 전자파 등과 같은 부분에 집중해서 빌딩증후군과 관련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바이오에어로졸은 알레르기반응, 전염병, 호흡문제 및 과민반응을 일으키며, 외국에서는 빌딩증후군을 야기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 인식되고 있다.
○ TiO2로 코팅한 광촉매시스템을 자외선 또는 오존살균장치에 추가한다면, 자외선 또는 오존의 투입량을 감소하면서도 살균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본고에서는 광촉매 반응기의 형태, 타 산화장치와 결합형태 및 광촉매 분해 메커니즘을 기술하고 있다. 소독 반응기의 접촉시간과 UV 조사강도와의 관계에서, 접촉시간을 길게 유지하고 조사강도를 낮추는 경우가 접촉시간을 짧게 유지하고 조사강도를 높이는 경우보다 멸균효과가 높다고 한다.
○ 광촉매는 타 촉매와 같이 반응에너지를 낮추기 때문에 반응에 필요한 에너지 또는 물질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 처리시설로 각광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진취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소독단계, 미생물 종과 처리장치에 따른 처리효율 등 반응 메커니즘을 규명할 수 있는 모델수식 개발도 필요하다고 본다.
- 저자
- F. Chen, X. Yang, H. K.C. Mak, D. W.T. Cha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45
- 잡지명
- Building and Environ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747~1754
- 분석자
- 이*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