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 정보 구조의 디자인과 실증적 평가
- 전문가 제언
-
○ 인간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 기술에는 두 가지의 접근이 있는데, 이들은 환경 구조화의 도입과 고기능 인간 공존형 로봇이다. 먼저 환경 구조화의 관점에서 수행되고 있는 것이 WABOT-HOUSE로 이는 가구를 RT화하고 GPS나 RFID를 사용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환경 지능이 로봇 서비스를 실행한다. WABOT-HOUSE는 가변식 바닥이나 로봇 전용 엘리베이터를 구비하고 가옥 전체가 로봇으로 되어 있다.
○ 다음으로 고기능 인간 공존형 로봇은 안전성, 고출력, 인간 친화성, 교치성, 작업능력(지능) 등의 기능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개념으로 만들어진 것이 2007년에 발표된 “TWENDY ONE”이다. 인간과 로봇의 협조 작업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장면이 고려되는데, 이들을 센싱하기 위해 전신 촉각을 구비해야 한다. 상반신에는 134개소에 촉각 센서를 내장하고 안전성을 위해서는 충격흡수겔(gel) 제나 수동 유연관절 구조를 가지고 있다.
○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측위 기술에는 GPS와 같이 위성 시스템을 이용한 것 외에도 근거리 통신기술을 이용한 간접적인 측위 기술이나 통신 인프라를 이용한 측위 기술 등이 있다. 최근에 와서는 GPS 위성과 같은 전파를 발생하는 Pseudo-Lite라고 불리는 의사 GPS 위성을 지상에 설치하여 측위(위치 측정)를 하는 수법이 개발되었다. 이는 종래의 GPS 위성으로부터의 전파수신이 곤란한 빌딩의 골짜기나 지하 및 옥내 등에서도 측위할 수 있게 되었다.
○ 오늘날 GPS로 대변되는 위성 측위 시스템(GNSS: Global Navigarion Satellite System)의 장점은 경제성과 정확성이라 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아주 저렴한 비용으로 고정확도의 위치 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에 GNSS의 취약점은 위성 신호가 차단되는 공간에서는 이용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GNSS의 취약점을 보완하는 것이 위에서도 언급한 의사위성 시스템이며, 이에 대한 연구가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 저자
- Shigeki Sugan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48(12)
- 잡지명
- 計測と制御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884~889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