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원자력 - 이집트의 사례

전문가 제언
○ 이집트는 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고 경제 개발이 활발한 개발도상국이다. 전력의 대부분은 가스복합발전을 포함한 화력발전이 담당하고 있으며 수력이 일부분을 공급하고 있다. 인구 증가와 경제 개발 및 삶의 질 향상으로 1차 에너지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에 비례하여 전력 수요도 연평균 6%의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

○ 최근 연구에 의하면 이집트는 1차 에너지의 공급 부족이 2020년 이전에 다가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발전용량은 2008년의 22.6GW에서 2017년에는 37.8GW, 2022년에는 47.1GW를 공급할 계획이다.

○ 이 보고서는 이집트의 에너지 현황을 자세히 분석하고 있다. 경제 성장과 인구 증가를 고려하여 전력 수요를 추정하고 있으며 2052년까지는 연간 132GW의 발전용량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원전의 개발이 불가피하며 2052년까지 13기를 도입하여 전원 중 원전 점유율을 13%로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 이집트는 국제원자력기구의 도움을 받아 이미 원전부지의 타당성을 조사하여 부지를 선정해두고 있다. 원전 도입의 필요성을 절감하면서도 선듯 원전을 도입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원전 개발을 추진할 내부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이집트는 2017년까지 원전 1호기의 준공 목표를 수립하고 있는데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한국 등 원전 수출국의 도움을 사전에 받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UAE의 사례에서 보여주었듯이 원전의 도입과 기술 개발 및 자립을 위해 걸어온 우리의 과정을 이집트에 잘 설명하고 설득하면 이곳에서도 원전을 수출하는 여건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좋은 결과를 기대해 본다.
저자
M.N.H. Comsa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51
잡지명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813~1817
분석자
이*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