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한 정보 제휴
- 전문가 제언
-
○ 제조업을 비롯한 생산공장에서의 에너지효율 향상은 국가 에너지 소비 절약과 국제적 환경 규제 및 국제 수지 방어에 주요한 대응 수단이 되며, 아울러 제조업, 생산공장 및 그 생산제품의 국제 경쟁력 향상도 동시에 촉진하는 방안이 된다. 따라서 에너지 소비 급증에 따른 국내문제를 완화시키고 국제적인 환경 규제와 비관세 장벽에 대비하는 수단으로서 제조업을 비롯한 생산공장의 에너지 소비효율 향상은 매우 유용하다고 사료된다.
○ 2006년 10월, EU 집행위원회는 에너지 이용효율 향상을 통해 2020년까지 에너지 소비를 20% 감축하기 위한 “Action Plan Efficiency”를 발표하였다. 여기서는 주요 에너지 사용 14개 제품군에 대한 최저 에너지효율 기준을 제정하고, 이 기준 적용 대상 범위의 확대 및 효율기준의 강화를 위해 에코 디자인 지침(2005년) 및 에코 표시 지침(1992년)의 개정을 추진(2008~2010년) 중에 있다.
○ 제조업을 비롯한 생산공장의 생산공정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해서는 에너지 사용량의 삭감에 최우선 순위를 두어야 한다. 따라서 효율 향상을 위해서는 고효율 에너지원으로 전환해야 하며, 미래의 인프라 투자를 어떻게 최소한으로 유지하고 그 위험성을 감소시키는가 하는 점에 각별히 유념해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의 제조업을 비롯한 생산공장의 주요 제품 에너지 원 단위는 일본에 비해 평균 9.5% 높은 실정이며, 또한 우리나라 생산공장의 에너지 사용기기 효율은 일본에 비해 평균 5~6% 낮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는 첫째, 전동기를 비롯한 기기 성능의 차이, 둘째, 설비의 노후화, 셋째, 운전관리 기술의 부족 등 3가지 요인에 기인하고 있다. 가령 제조업의 1차 에너지 소비의 37%를 차치하는 전동기의 효율수준이 일본에 비해 7% 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나 있으므로 고효율 전동기의 보급촉진 시책이 시급히 요망된다.
- 저자
- Masatoshi Takan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49(3)
- 잡지명
- 計測と制御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55~159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