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에너지자원 고갈 및 지구온난화 사회에서 원자력의 역할

전문가 제언
○ 문명의 발달과 삶의 질 향상에 비례하여 에너지 소비량은 필연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있다. 인구 증가 역시 에너지 소비량을 증가시킨다. 세계 인구는 약 65억 명이며 연간 에너지 소비량은 석유 기준으로 약 100억 톤 이상이다. 또한 세계 에너지 소비량의 약 80% 이상이 화석연료인데 화석연료 사용에서 발생하는 CO2가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기 때문에 화석연료 사용 억제가 국제적 이슈가 되어 있다.

○ 한편, 석유의 경우는 이미 생산량과 소비량이 정점에 도달해 있다는 피크오일(peak oil) 이론이 논쟁의 중심에 놓여 있고 가채연수가 향후 40년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천연가스와 석탄의 가채연수도 각각 60~70년 및 200여년 정도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지구온난화와 에너지자원 고갈을 고려하면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노력하지 않을 수 없으며, 특히 이산화탄소를 거의 배출하지 않는 원자력의 개발과 역할 증대에 기대를 걸지 않을 수 없는 실정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핵연료 자원의 경우도 유한하기 때문에 현재 보급되어 있는 열중성자로의 사용 후 핵연료를 재활용하는 방안과 고속로를 활용하여 핵연료를 증식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 이미 프랑스 등의 원자력 선진국에서는 사용 후 핵연료를 재처리하여 혼합핵연료(MOx: Pu+U 옥사이드)로 재활용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핵확산 측면에서 사용 후 핵연료의 재처리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제4세대 원자로의 하나인 고속로 개발을 통해 사용 후 핵연료를 재활용할 수 있는 국제공동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 고속로와 함께 제4세대 원자로의 다른 후보노형인 고온가스원자로(HTGR)는 원자로의 운전온도가 950도 이상으로 전력 생산은 물론, 열화학 분해를 통해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수소는 깨끗한 에너지매체로 전력생산, 자동차의 연료, 연료전지 등에 사용될 수 있어 미국, 일본 등의 여러 국가는 원자력 수소 생산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한국원자력연구원을 중심으로 2020년까지 원자력 수소 생산기술을 확립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저자
Shinzo Sai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398
잡지명
Journal of Nuclear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9
분석자
이*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