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미늄합금과 철강재료의 레이저브레이징 복합접합기술
- 전문가 제언
-
○ 수송기기의 경량화를 위한 알루미늄합금과 구조용 고강도 철강재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있도록 하는 접합기술 중의 하나로 레이저 브레이징 복합접합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합금과 철강재료와 같은 이종재료를 성공적으로 접합하기 위해서는 접합부에서 생성되는 금속간화합물이 생성되지 않도록 시공조건을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 레이저 브레이징 복합접합기술은 레이저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삽입금속을 용융시킨 후 모세관 현상으로 접합부 사이를 충전시킨다. 레이저브레이징 복합접합에서는 모재를 용융시키지 않고 모재보다 융점이 낮은 삽입금속을 용융시켜 접합하기 때문에 용접이 곤란한 금속이나 이종금속의 접합을 가능하며, 용접에 비해서 입열량이 적기 때문에 모재의 열영향이나 변형이 적고 외관 형상이 우수하다.
○ 최근에는 귀금속 내열 삽입금속을 이용한 초내열합금의 브레이징과 알루미늄 삽입금속을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철강재료 브레이징의 LD 레이저 브레이징의 적용성에 대한 기초연구 등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 레이저 브레이징 복합접합에서는 용가재 와이어와 레이저 빔의 위치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접합의 대상이 되는 부품이 3차원 구조의 제품이 되기 때문에 좌우상하의 위치를 맞추어 보정해야 한다. 따라서 자동적으로 용가재 와이어의 위치를 보정해 주는 가공용 헤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 저자
- Kazuyoshi Said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9
- 권(호)
- 47(8)
- 잡지명
- 輕金屬溶接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66~379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