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성분의 장관상피 흡수기구와 생리기능

전문가 제언
○ 국내의 연구로는 2003년 한국과학재단의 목적 기초연구사업으로 항산화물질인 카르노신과 그 유사체들은 항산화효소의 산화적 손상을 효과적으로 보호한다는 보고가 있으며, 2004년 특정연구 기초사업으로 타우린 수송체의 유전자 발현 조절과 세포 내 신호전달 과정을 밝혀서 타우린의 생리적 기능에 대한 기전을 밝히고 임상적 적용 기능성을 명확히 한바 있다.

○ 카르노신은 동물의 뇌와 골격근, 심근에 많이 존재하는 유리펩티드로 계육과 돈육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항산화작용과 항노화작용, 창상치유작용과 혈압강하 작용 등이 있다. 장관상피 세포에서 취입활성은 pH 6.0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TLR(Toll-Like Receptor)를 경유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IL-8(Inter-Leucine8)의 분비가 현저히 증가하며, 카르노신처리에 의하여 mRNA 발현양이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이 보여졌다.

○ 타우린은 유황함유 특수 아미노산으로 여러 가지 활성이 보고된바 있는데 DSS 장염모델을 이용하여 검토결과 C57BL/6 마우스에 2%의 Tau 함유수를 사전에 5일간 자유 음수시킨 후 DSS 투여한 경우 장염증상의 정도와 마우스의 체중감소가 Tau 투여군에서 지연되었으며 설사와 혈변증상이 유의적으로 회복 되었고 대장염에 의한 결장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 어린이의 간장치료약인 비가바트린은 타우린의 혈중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광수용체의 퇴화를 초래해 빛에 노출된 망막을 손상시키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타우린이 풍부한 음식물을 섭취하고 빛 노출을 삼가하며 각종 동물의 쓸개즙, 오징어와 조개류를 섭취해서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카르노신은 식품의 용도 외에 펩티드를 이용한 주름 완화의 기능성 화장품으로의 임상효과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타우린 수용체가 스트레스 또는 여러 가지 질병 중 중화항체가 염증성 장질환의 획기적인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된다.
저자
Hideo Sats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9
권(호)
29(4)
잡지명
食品加工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64~174
분석자
신*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