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출성형기용 유압기술의 현황과 전망
- 전문가 제언
-
○ 사출 성형법은 개발된 지 60년 이상 되었지만 다른 성형법에 비해 많은 플라스틱에 적용할 수 있는 점과 복잡한 형상제품의 성형이 용이한 장점 때문에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사출성형기는 플런저(plunger)식에서 인라인(inline)식으로, 오픈루프(open loop)식에서 폐쇄루프(closed loop)식으로, 또 유압식에서 전동식으로 기술혁신이 진행되었지만 용융, 유동, 고화라는 기본원리는 변하지 않는다.
○ 자동차, 휴대단말기, 사무기기, 광학정밀기기 등에서 고성능 기능화, 소형화, 에너지절감, 안전과 환경대응, 생산성 향상, 원가절감 등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사출성형의 기본 문제점을 극복하고, 가공영역을 넓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 사출성형기에서 유압기술은 토크/관성비가 우수하기 때문에 동력원으로 폭넓게 사용하고 있다. 고속화 관점에서 최근 전동식 사출성형기에서 사출가속도 6~10G의 성형기도 개발되고 있지만, 유압식에서는 이런 사출가속도를 아주 간단히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유압식은 전동식에 비해 효율 관점에서 소음진동이나 연소성 작동유를 사용할 수밖에 없고, 누유, 소비에너지 및 환경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 현재의 경영환경 하에서 고객은 설비비, 인건비, 운영비를 포함한 최소 투자로 최대의 이익을 낼 수 있는 성형기 및 성형방법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향후 사출성형기는 총체적으로 고객에게 이득이 되는 형태의 것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동기술과 유압기술 양측의 기술개발을 중첩해서 각각의 장점을 발휘하는 방향으로 발전될 것으로 생각한다.
○ 향후 환경대응을 위해 에너지절약, 탄산가스 배출억제기술이 중요하게 대두될 전망이다. 이를 위해 차세대 사출성형기 분야에서 어떤 기술이 필요할 것인가를 고민하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설계 및 기반기술, 유압최적화기술, 소재 합성기술, 성형기술, 금형기술 등을 종합적으로 개발 육성하여야 한다.
- 저자
- shimiz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2
- 잡지명
- 油空壓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8~12
- 분석자
- 나*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