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단일 국부발진기와 주파수합성기를 가지는 양 방향 중계기

전문가 제언
○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신을 하기 위하여 지리적으로 복수의 셀로 나누고 각 셀은 기지국과 하나 이상의 이동기기로 구성된다. 각 셀 내에서 하향 또는 상향 통신 시 높은 빌딩이나 지하 등의 전파음영지역이 포함될 수 있어 통신이 불가하거나 두절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양방향 중계기를 사용하는데, 기존의 중계기는 상향신호와 하향신호 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2개의 국부발진기를 사용하였으나 이 기술에서는 하나의 국부발진기만을 사용하여 중계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중계기의 전력소모를 줄이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국부발진기와 주파수합성기에서 발생되는 하모닉 주파수를 줄일 수 있는 점에서 기술적 가치가 있다.

○ 음성 및 영상 위주의 통신에서 통신의 원활화를 위해 사용되는 중계기의 수보다는 데이터 통신이 위주가 될 3G 이동통신 세대에서는 훨씬 많은 중계기가 소요되어야 한다. 신뢰성 있는 고속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빌딩 등 작은 공간에서도 중계기의 설치가 필요하며 좁은 공간에 설치될 중계기는 소형화가 필수적이다. 또한 전파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하모닉 주파수 발생을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 기술은 고속 데이터 통신이 위주가 될 차세대 통신의 중계기에도 응용 가능하며 그 적용에 대하여 검토가 필요하다.

○ 국내 이동통신시스템 기술은 음성 및 영상통신뿐 아니라 온라인 금융거래, 무선인터넷 등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기술이 도입되면서 이동통신 시장규모도 증가되고 따라서 중계기 시장도 2000년 이후 연간 2000~2500억 규모에서 상당히 증가될 전망이다.

○ 4G 이동통신시스템은 이동 중 100Mbps급, 정지 중에는 1Gbps 이상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2012년경 서비스 상용화가 예상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LTE(Long Term Evolution),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표준, 차세대 WiFi 기술인 802.11VHT(Very High Throughput) 등이 경쟁 중이다. 국제표준화가 완료되고 상용 서비스가 제공될 시기에 맞추어 효율적인 중계기 설계와 설치가 되도록 이 기술을 검토하고 응용하여 사전 대비할 필요가 있다.
저자
WIRELESS EXTENDERS, INC.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0
권(호)
WO20100017180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2
분석자
이*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