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스테인리스강 연결재를 위한 표면처리 및 합금의 개발

전문가 제언
○ 연료전지는 최신의 기술로써 저공해 고효율의 에너지원으로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 받기 시작한 기술이다. SOFC는 연료전지가운데 가장 효율이 높고 공해 요인이 적으며 700~1,000℃에서 작동되기 때문에 개질장치와 귀금속 전극촉매가 필요 없고, 천연가스, 석탄가스 등을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 연료전지 연구가 활성화되고 산업화되면 국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국내에서는 90년대 물성연구에서 시작해 현재 POSCO, 삼성(SDI, 전기, 종합기술원) 등 기업과 KIER, KIST, 전력연구원 등의 연구소에서 주택용 및 분산발전용 SOFC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 연세대, POSTECH, 고려대 등에서 중저온용으로 활용가능한 대체전해질 및 전극재료, 밀봉재, 연결재 개발 및 특성평가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분산전원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증가하면서 2007년 포스코 파워와 포항산업과학연구원을 중심으로 150kW급 SOFC 스택 및 구성 요소 핵심기술 개발을 시작하였으며 최근 삼성과 KIER 등에서도 분산발전용 100kW급 SOFC 시스템을 개발하는 정부사업을 시작하였다.

○ 연결재는 SOFC 스택 제조를 위한 핵심 재료이다. 연결재는 연료와 공기를 서로 분리하여 교차되지 않도록 하므로 분리판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세라믹재료를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세라믹을 대체하여 성형성이 좋고 가격이 저렴하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금속 연결재에 대한 개발이 최근에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도 SOFC의 금속 연결재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코팅재료 및 기법들에 대한 연구가 꼭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 다양한 재료, 코팅, 표면개질 및 합금개발 등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스피넬 코팅으로 많은 금속 연결재의 문제점들이 크게 개선되었다고 하더라도 표면처리 및 새로운 합금 개발을 통해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새로운 합금에 대한 표면처리 및 코팅을 통해 성능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 시키는 연구를 시도할 만한 가치가 있다.
저자
Nima Shaigana, Wei Qu, Douglas G. Ivey, Weixing Che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195
잡지명
Journal of Power Sour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529~1542
분석자
김*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