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육식은 암 발병을 높이는가?

전문가 제언
○ 많은 역학조사 결과는 육류 섭취량 특히 적색육 및 가공육제품 섭취량이 높으면 대장암 발병률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암 발병에 대한 위험도는 과학적 견지에서 고찰하면 고기 자체의 영향이 아니라 과도한 지방섭취, 조리과정에서 생성되는 발암물질 및 가공육에 함유되는 발색보존제에 의한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따라서 육류는 식단의 핵심적인 구성요소이므로 회피하기 보다는 합리적으로 섭취하는 방안에 대한 고려와 균형있는 식단의 구성이 더욱 중요하다.

○ 또한 고기섭취는 영양적인 측면과 아울러 맛이 더욱 중요한 선택요소로 작용하며 특히 지방 함량이 핵심요소이나 이는 건강문제와 상반되는 영향을 발휘한다. 그러나 고기에 의한 총 지방섭취량만 조절하면 고기는 단백질 함량이 20~35%이고 필수 아미노산도 풍부하고 함유된 철, 아연 및 셀레늄은 흡수율이 우수하며 특히 비타민 B6와 B12 함유량이 높으며 항암 효과를 발휘하는 오메가-3 불포화지방산 및 CLA도 상당량 함유하는 좋은 식품소재이다.

○ 고기에 함유되는 지방산과 관련하여 돼지, 닭과 같은 단위동물이 생산하는 고기에 함유되는 지방산 조성은 사료에 함유되는 지방산 조성과 일치하므로 건강에 유익한 지방산 조성을 가지는 고기를 생산하는 것은 사료자원의 선택으로 해결이 용이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반추동물인 소의 경우는 상당히 어렵고 사료조절에 의한 효과도 미미하다. 그러나 우리의 한우는 특히 유전적으로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인산 함량이 높은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

○ 육류섭취의 경우 외국의 경우는 역학조사에 의한 많은 보고가 있으나 우리가 섭취하고 있는 한우고기의 경우 아쉽게도 현재까지 역학조사에 의한 건강문제에 대한 심층적 조사 및 자료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분야 연구는 첨단성 연구에 비하여 대체로 빛나지 않는 분야이지만 기본조사 자료의 확충은 국민건강 향상 차원에서 사회간접비용을 줄이는 효과는 물론 육류시장 개방에 가장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
저자
Lynnette R. Ferguso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84
잡지명
Meat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08~313
분석자
윤*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