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V 경화형 코팅재의 개발 동향과 응용
- 전문가 제언
-
○ 최근 대기환경에 영향을 주는 도료 및 건재 등으로부터 배출하는 VOC에 대한 해결책으로 여러 가지 환경친화형 도료 중에서 가장 많은 주목을 받고 있고 연구 개발 가능성이 큰 것이 UV 경화형 도료이다.
○ UV 경화는 자외선(UV)의 조사에 의하여 모노머가 3차원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중합반응이 일어나는 것이다. UV에 의하여 광개시제 (photoinitiator)의 종류에 따라 UV 경화형 도료는 라디칼중합이나 양이온 중합에 의한 경화반응에 의해 크게 2가지로 분류된다.
○ 현재 UV 경화형 도료에서 주류가 되고 있는 라디칼 중합계의 특징은 일반적으로 경화된 도막이 아주 높은 가교밀도로 인해 고경도, 내찰상성 및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고 고광택 등의 외관을 부여할 수 있다.
○ 한편, UV 경화형 도료는 그 경화시스템으로부터 초래된 착색 및 피도 장물의 형상제한과 더욱이 UV 조사 설비나 도료의 재료가 비교적 높은 코스트 등을 들 수 있다. 최근에는 착색에 대한 광개시제나 입체 형상물로 UV 조사시스템의 개발, 신규 UV 흡수제?안정제의 개발에 의해 이들 문제는 해결이 가능하다.
○ 현재 국내에서는 UV 도료로 필름, 플라스틱 사출품 등에 적용되는 하드코팅, antistatic 등 기능성 UV 도료를 생산하고 있으나, 선진국에서 환경 대응 형으로 대체 사용되고 있는 목공용, 플라스틱 및 광학- 일렉트로닉스, 자동차 등의 산업용 UV 경화용 도료의 개발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도료 재료의 개발과 함께 입체 구조물을 위한 3D 경화 설계의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 또한, 앞으로 더욱 더 환경문제가 강화되므로 UV 경화형 수계도료의 수요가 증가하는 것은 필연이므로, 무용제나 수계, 분체인 VOC 프리나, LED 광원 및 1코트 착색 UV 도료에 의한 소비 에너지의 삭감을 위한 환경 대응이 절실히 요구된다.
- 저자
- Kenziro SAKAMOT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58(5)
- 잡지명
- 工業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0~44
- 분석자
- 이*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