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험하는 뿌리: 식물의 뿌리 성장은 환경조건에 따라 반응한다.
- 전문가 제언
-
○ 고착생활을 해야 하는 식물체는 잎과 뿌리로 영양분을 얻는다. 어떻게 뿌리가 뻗어나고 자랄 때 장애물에 대한 대비를 위해 미리 신호를 보내고 반응을 하는지 흥미 있는 문제로 생각하며 이에 관한 기관 생장과 조절 및 근계의 구조 변화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 식물은 호르몬인 auxin을 분비하여 생장에 굴성을 나타내고 그것이 생장과 굴곡운동으로 나타나게 되어 특히 뿌리는 새로운 곳에 자리잡음이 이루어진다.
○ 식물체는 도처에 Ca2+가 있어서 기계적 신호를 감지하게 되고 통로로 제공되며 이곳을 이온이 통과하는 통로가 되며 반응의 창문 노릇도 한다. 기계적 자극을 받으면 식물은 벽 알칼리화 및 반응질소 종류의 변화가 생겨서 이곳에서 신호가 오면 벽의 간격이 바뀐다.
○ 동식물의 종류에 따라 각기 특유한 물질과 세포주변 구조가 바뀌고 이를 모두 합쳐서 생각해 보면 유전적인 적응이며 진화의 산물이라고 생각된다. 식물은 굴수성을 나타내고 수분을 감응 인식하며 이러한 변화성은 양분 수송과 식물 생존에 필수적인 생리현상이다.
○ 국내에는 식물생리학 연구의 집중적인 진행과 선도 역할을 맡아온 연세대와 그곳에서 배출한 수많은 학자들이 각지의 대학과 연구소에 흩어져서 수많은 학술연구와 발표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
○ 국제적으로 미국의 “생리학”회지를 비롯하여 상당히 많은 관계 Journal과 전문적인 학회 발행 문헌이 많이 있고 따라서 이 방면에 관심이 있는 젊은이들에게는 더할 수 없이 좋은 기회가 조성되고 있다고 판단되니 스스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Gabriele B Monshausen and Simon Gilroy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12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Plant 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766~772
- 분석자
- 길*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