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기술과의 연결 추적:과학자와 발명가의 연계에 관한 탐색적 분석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의 목적은 개방적 과학세계에서 과학자들과 기술자들 간에 내재화된 네트워크의 상호 작용과 중복성을 탐색적으로 분석한다. 레이저기술(Lasers), 반도체 기술(Semiconductors), 바이오 기술(Biotechnology)의 특허 자료를 검색하여 분석한다.
○ 최근에는 산·학·연의 연계나 지식이전이 거시적(조직 및 제도적) 수준에서 더욱 더 미시적(개별적) 수준으로 옮겨가고 있다. 대학에서 산업계로 학술적 연구나 지식이전의 유출 역할에 대해 더 광범위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지식의 흐름 메커니즘에 대하여 더 많은 이해를 위하여 학계 연구원과 기업 연구원의 연결에 대하여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기업들이 사회적으로 체화된 지식을 정보통(gatekeeper)을 통하여 열린사회에서 튼튼한 유대관계를 촉진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고 본다.
○ 학계의 저자와 산업계의 발명가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 측정에서는 저자-발명자가 과학자나 발명가 사회를 연결하는 정보 제공자(gatekeeper)로서 지식과 아이디어를 빠르게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 이 논문은 과학자와 발명가 사회를 연결하는 탐색적 연구분석 결과 과학에서 산업으로 지식을 이전하는 추진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첫째, 이 논문은 두 사회의 목적이 다르고 인센티브 구조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연계가 잘 되어 있음을 밝히고 있다. 특히 공동저작과 공동발명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적 특성은 한 분야에서 다른 분야로 지식을 확장시키는 촉진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실제로 지식이 사회적 결속을 어느 정도까지 가져다주는지는 밝히지 못하고 있다.
○ 점차로 학계, 연구계, 산업계가 수행하는 연구가 기초연구, 응용연구, 개발연구, 생산연구의 영역이 중복되거나 불분명해지는 추세이므로 우리도 특허 분석을 통하여 공동저작과 공동발명에 관한 특성과 연결성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Stefano Breschi, Christian Catalin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0
- 권(호)
- 39
- 잡지명
- Research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4~26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