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형상의 플렉시블 태양전지
- 전문가 제언
-
○ 차세대 제조기술로 평가받고 있는 인쇄전자 기술(printable electronics)을 활용하여 향후의 OTFT(Organic Thin-Film Transistor), OLED (Organic Light?Emitted Diode) 및 유기 태양전지 등을 플렉시블 디바이스화 하려는 연구노력이 국내외적으로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 고분자 재료는 유연성(flexibility), 필름 구현성(film forming ability), 기계적 인성(mechanical toughness) 등이 타 재료에 비해 월등 하므로 광활성층 고분자를 활용한 유기 플렉시블 태양전지의 개발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볼 수 있다.
○ 유기 플렉시블 태양전지의 전 단계인 유기박막 태양전지의 본격적인 개발 및 실용화 프로젝트 등은 미국의 코르나카, 플렉스트로닉스 등의 회사에서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현재의 에너지 전환효율은 6% 정도이나 10% 수준도 가능하다는 예측이다. 국내의 광주과기원의 이광희 교수팀은 6.5%를 달성했다.
○ 유기 박막 태양전지의 기본구조는 금속/ITO/유기반도체(광활성층)/금속 구조로 표시할 수 있는데 높은 일함수를 갖는 투명전극인 ITO(Indium Tin Oxide)를 양극으로 낮은 일함수를 갖는 Al 이나 Ca 등을 음극으로 사용한다. 광활성층은 100㎚ 두께의 고분자 층으로 습식공정을 통해 막을 형성할 수 있다.
○ 플렉시블 유기 태양전지의 개발에서 고분자필름에 코팅한 ITO필름을 플렉시블 전극으로 사용하고 전지를 심하게 구부리면 ITO 전극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기술적인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의 소개한 섬유형상의 플렉시블 태양전지는 ITO 필름을 사용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 유기박막 태양전지에 대한 국내의 연구 역사는 짧지만 신물질, 신소재 합성기술, 소자제작 기술 등은 상당한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생각된다. 전북대의 이수형 교수에 의한 인쇄전자 기술을 활용한 플렉시블 유기태양전지 부문의 연구가 실용화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한다.
- 저자
- Dechun Zou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254
- 잡지명
- Coordination Chemistr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169~1178
- 분석자
- 나*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