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효모 β-1,3/1,6-글루칸의 기능성
- 전문가 제언
-
○ 근래에 건강 기능성 식품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매우 높아져, 도처에서 성황을 이루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우리 국내에서도, 사람들이 음식을 대하면 우선 맛에 앞서서 몸에 좋은지 어떤지를 살피는 지경에 이른 느낌을 갖게 한다.
○ 국내 건강식품 시장 규모는 2005년 6,825억이던 것이 2007년 7,234억, 2009년에는 2조 3,000억으로 성장하였으며, 앞으로 5년 내에 10조 원 이상으로 성장하리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 β-글루칸의 건강에 주는 기능성에 착안하여, 그 가능성을 주목한 것은 1980년대 경부터이다. 그동안 여러 분야에 걸쳐 학술적 진보를 거듭하여, 최적의 적용방법을 찾아내느라 노력을 기울인바, 최근에 β-글루칸의 수용체가 알려지고, 유전자 결손 마우스가 만들어짐으로 인하여, 그 기능이 분자 레벨에까지 해명되기에 이르렀다. 이와 더불어 β-글루칸은 그 면모를 갖추고, 각종의 확인과정을 통하여 그 안전성이 검증되고 있다.
○ β-글루칸의 다양한 기능을 검토한바, 역시 β-글루칸의 중심기능은 면역강화기능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의 관심을 집중시키는 생활습관 병의 상당 부분도 면역력과 연관됨을 간과할 수 없는 것이다.
○ 즉 사람의 면역력과 관련하여, 동맥경화의 발생 원인이 마크로파아지의 포말화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통풍에 있어 요산 결정에 의한 염증 발생에도 자연면역 인플라마좀(inflammasome)이 관여한다.
○ 알츠하이머 치매에 있어서도 뇌의 신경세포와 함께 존재하는 글리아(glia)세포의 활성화가 요인이며, 사람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병증에 있어서도 면역 활성이 깊이 관여함을 볼 수 있다.
○ 따라서 β-글루칸의 면역력 강화 기능은 항암 작용을 비롯하여, 생활습관 병의 예방, 치매 예방 등 건강을 지키고 각종 질환을 예방함에 있어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저자
- SAKAMOTO Shuic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52(4)
- 잡지명
- New Food Indu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1~31
- 분석자
- 남*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