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광과 광물처리작업에 따른 에너지와 온실가스의 영향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은 철광석, 보크사이트 및 동정광의 채광과 광물처리에 대한 전과정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를 통하여 에너지소비 및 탄소배출에 중점을 두고 수행되었다. 그 결과 철광석과 보크사이트의 경우는 운반과정에서, 동정광의 경우는 파쇄 및 분쇄과정에서 가장 많은 온실가스가 배출되었다. 이는 철광석과 보크사이트의 경우는 운반에 중점을 두어야 하고 동광석의 경우는 분쇄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LCA는 서비스를 포함한 특정 제품의 전과정, 즉 원료 및 가공, 제조, 수송 유통, 사용, 재활용, 폐기물 관리 과정에 소모되고 배출되는 에너지 및 물질의 양을 정량화하여 이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총체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환경개선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객관적이며 적극적인 환경영향평가 방법이다.
○ 광상이 점점 복합적이 되고 품위저하 추세를 보이는 반면 1차 금속 수요는 증가하여 향후 1차 금속 생산(특히 채광과 광물처리과정 단계에서)에 있어서 에너지소비와 온실가스 증가를 가져올 것이다. 앞으로 광물자원 채광 및 선광처리 등은 우리나라의 해외자원개발 활성화와 더불어 LCA는 필수불가결한 사항이 될 것이며, 광업 분야의 국제적 환경규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 국내외를 통하여 온실가스배출 감소와 에너지 절감 문제는 매우 주요한 사항이다. 우리나라에서는 LCA연구회를 중심으로 LCA를 통한 에너지, 온실가스 감축노력이 수년전부터 일부 제조업체에서 전개되어 왔으나 채광단계의 LCA는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동 분야에서의 LCA 수행을 활성화하고 해외 선진기술 협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T. Norgate, N. Haqu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18
- 잡지명
-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66~274
- 분석자
- 김*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