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면용접 등 새로운 겹치기 전기 저항 용접법
- 전문가 제언
-
○ 재래의 저항용접기는 대전류를 상용주파수의 단상으로 얻는 장치를 사용했기 때문에 전력 에너지 손실이 60%로 대단히 크고 전원장치 자체가 대형이어서 이를 장착한 용접기기 또한 대형으로 되어 응용 범위가 제한되어 있었다.
○ 최근 개발된 저항용접기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인버터 전원을 채용함으로써 용접 건(Gun)과 변압기를 일체화하여 기기를 소형 경량화했을 뿐만 아니라 용접 품질의 향상, 전극 수명의 연장, 전력 손실의 저감 등 고효율, 고생산성의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 그러나 저항용접에서 용접 품질의 모니터링 기술과 용접 품질의 제어 기술은 아직 정립 단계에 와 있지 않다. 용접 품질의 향상과 생산성을 더욱 고도화하기 위해서는 용접 도중에 용접 품질을 좌우하는 각종 용접 변수들을 감지하고 모니터링해서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제어 동작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용접 공정 모니터링 장치와 제어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 앞으로 자동차, 철도차량, 가전 등 박판을 사용하는 산업은 더욱 활성화할 것으로 예상되어 저항용접의 응용범위는 더욱 확대되어 갈 것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저항용접기의 응용이나 기기 개발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매우 저조한 현상에 있어 이의 개선이 요구된다.
- 저자
- FURUKAWA Kazuto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9
- 권(호)
- 78(4)
- 잡지명
- 溶接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62~268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