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설치한 가정의 환경에 대한 행동 변화

전문가 제언
○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는 2010년 5월 12일 스페인 Valencia에서 발표한 PV(Photovoltaic, 태양광발전) 및 CSP(Concentrating Solar Power, 집광형 태양열발전) 로드맵에서 2050년이 되면 지구 전체 전력 생산의 20에서 25%(PV는 11%)를 태양전지가 점유한다고 예측하였다. 태양광발전과 집광기술의 조합은 2050년 에너지 관련 CO2의 배출을 연간 60억톤(PV는 23억톤)을 줄이면서 에너지 안정성을 제고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우리나라의 경우 2010년 3월 현재 그리드 연결 태양광 발전설비가 338.87㎿이다. 태양광발전 기술의 핵심인 태양전지는 아직은 실리콘 기반의 결정계 태양전지가 주력이나 앞으로 비정질 실리콘 혹은 비실리콘 박막형 전지가 경쟁력을 가지고 등장할 것이다. 태양광발전 보급은 독일이 세계 최대이지만 생산은 일본이 주도하고 있다. 태양광발전 설비단가는 1,200만 원/㎾ 수준이나 앞으로 점진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 우리나라는 실리콘계 태양광분야에 있어서는 세계 최고 수준까지 도달하였다. 현재 소재로부터 모듈 및 시스템까지 일괄생산이 가능할 정도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국내 시장뿐만 아니라 해외 수출산업으로까지도 성장했다.

○ 2012년 이후 우리나라가 온실가스 배출의무 감축국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사람들이 에너지 절약에 관심을 가지고 녹색운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것은 앞으로 국제환경 규제에 미리 대응하고, 국민건강과 환경개선을 위해서 꼭 필요한 덕목이다.

○ 이 글의 연구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가 이러한 심리적 효과를 이끌어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독립형 및 그리드 연결형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 장려는 자체의 경제적 타당성 뿐 아니라 이러한 부수적인 효과가 있으므로 정책 입안에 이를 충분히 반영해야 할 것이다.
저자
Hondo, Hiroki, et.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0
권(호)
87(1)
잡지명
Applied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229~235
분석자
황*룡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