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능성 췌장 베타세포량: 제2형 당뇨병의 발생과 치료와의 관련성

전문가 제언
○ 인슐린 분비 세포인 췌장의 베타세포(β-cell)는 완전히 분화된 세포로서 체내에서 거의 자라지 않고 산소 요구량이 많고 anti-apoptotic 단백질이 매우 적어 약간 불리한 환경(예, 산소농도가 낮을 때)에 놓여 있으면 쉽게 죽거나 기능이 저하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다른 세포조직에서 생성한 anti-apoptotic 단백질과 산소를 혈관을 통해 충분히 공급해 주어 β-cell을 불리한 환경에 노출되지 않게 해야 한다.

○ 노인이 되면 anti-apoptotic 인자는 적게 생산, 공급되는 반면 reactive oxygen, nitric oxide 등은 더 많이 생산되어 이들 toxic factors에 많이 노출되므로β-cell은 기능 저하 또는 사멸되어 나이가 들면 당뇨병을 앓게 된다.

○ β-cell mass 감소, ROS 같은 유해물질에 의한 β-cell의 기능성 감소로 당뇨병을 일으키기 때문에 베타세포량과 기능성을 늘리기 위해 GLP-1의 β-세포량 증가 능력을 가지되 반감기(half-life)를 크게 늘린 GLP-1의 유사물질을 개발해 당뇨병 치료에 사용하고 임상시험 중에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 분야 연구는 아직 전혀 없다.

○ 인슐린 내성을 인슐린 감수성으로 바꿔 기능성 베타세포 요구량을 감소시켜야 한다. 현재 사용하는 2형 당뇨병 치료제인 Troglitazone(미국, Elli Lily제품) 등은 insulin-sensitizer이지만 stress에 의해 생긴 insulin-resistant에는 효과가 매우 미흡하다. 보다 강력한 insulin-sensitizer를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 초기 당뇨병 환자들은 남아 있는 β-cell들을 보존키 위해 운동을 지속하면서 당뇨병 치료제를 사용하여 혈당조절뿐만 아니라 기능성도 늘려 완치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나이 많은 당뇨병 환자들은 운동할 때 anti-apoptotic, anti-RO, anti-NO 기능을 가진 보조제를 함께 사용할 것을 권한다.
저자
M. Karaca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35
잡지명
Diabetes & Metabolism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77~84
분석자
윤*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