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사용후 폐기제품의 금속자원 재활용성 평가

전문가 제언
○ 도시광산(urban mining) 산업은 도시에서 발생하는 가전제품이나 자동차 등 폐기물로부터 금, 은, 팔라듐, 팔라듐, 철, 알루미늄, 구리 등의 금속광물을 추출하는 산업을 의미하는데 자원고갈 문제, 희귀금속자원의 무기화 등의 해결 방안으로 부각되어 선진국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금속자원의 대부분을 수입하는 우리나라도 도시광산 산업에 대해 큰 관심을 가져야 할 시기가 되었다.

○ 우리나라도 2008년에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자원 순환법)이 시행되고 있으며 2007년 7월에는 환경친화적 산업구조로의 전환촉진에 관한 법률이 마련되어 자원의 재순환에 관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관련 사업체가 영세하여 철을 제외한 나머지 금속자원의 재순환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희귀금속의 수요 증가와 무기화 등을 고려하여 볼 때 재순환관련 산업은 앞으로 크게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 우리나라는 하루에 4,000대의 구형 휴대폰이 버려지고 있는데 휴대폰을 포함한 IT제품에는 금, 은, 팔라듐, 탄탈륨 등 희귀금속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우리나라는 이들 희귀금속을 90% 이상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희귀금속을 IT제품 등 도시광석에서 회수하여 재활용하면 수입량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자원의 무기화에도 대응할 수 있다.

○ 도시광산 산업은 단순한 폐기물 처리산업이 아니라 고도의 제련기술력을 요하는 "기술 집약형" 산업으로 우리나라의 경우는 아직도 도시광석에서 금속을 추출하는 기술이 부족하다. 환경부에 따르면 도시광석에서 희귀금속을 회수하는 기술은 선진국의 20% 수준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관련기술 연구 개발에 정부의 강력한 지원과 함께 민간기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저자
Eiji YAMASUE, Ruota MINAMINO, Hideyuki OKUMURA and Keiichi N. ISHIHARAN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9
권(호)
59(11)
잡지명
輕金屬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20~626
분석자
이*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