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환자의 통합실조증 치료전략
- 전문가 제언
-
○ 흡연에 의한 약물동태학적 상호작용으로 담배연기에 함유된 암 원인 물질인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류(PAHs)가 약물대사효소 CYP1A1, 1A2, 2E1를 유도함으로써 의약품의 대사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이미 확립된 기전이다. 특히 흡연이 향정신성약, 항우울제 등 중추신경 억제약물들의 약효를 감소시킴으로써 정신질환 치료에 문제를 야기한다는 것은 흡연의 위험성을 대변하고 있다.
○ 최근에 세로토닌 특히 5-HT2 수용체의 관여가 주목되어 제2세대 항정신병약이 통합실조증의 제1 선택약으로 사용되며 그 이유는 도파민 D2 수용체의 차단작용이 작고 세로토닌 계에도 작용하여 부작용이 적으며 약성증상과 음성증상에도 효과를 갖는 배경이 있다고 생각한다.
○ 2007년의 엑스퍼트 컨센서스 안내서에서는 흡연치료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신체상황은 체중증가와 심장대사 문제의 위험이며, 추체외로 증상과 지발성 지스기네시아, 고 prolactine혈증, 지적장해나 전간, 인지증, HIV와 C형 간염, 호흡장해, 흡연 등을 보고하고 있다.
○ 미국에서는 1990년대에서 사회적인 금연운동에 의하여 정신과 병원에서 병원 내 금연의 움직임이 왕성하여 증상의 악화나 고통 없이 금연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일본에서는 이상의 단과정신병원이 영내에서 금연이 되어 있다. 의료기관에 있어서 부지 내 금연 등의 환경적인 인자의 강화는 흡연자의 금연 동기나 비 흡연자의 흡연 방지에 유효하며 입원환자에 있어서 부지 내 금연은 그대로 금연치료가 된다.
○ 개인대상의 금연 지원으로서 니코틴 의존에 대하여 니코틴 대체요법이 심리적 의존에 대하여 인지행동요법이 효과를 올리며, 통합실조증 환자도 기본적으로는 같은 방법으로 흡연하는 정신장애자에 대한 금연 지원의 실제를 나타낸 것이다. 금후 각 방면의 탐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다각적인 연구를 통합함으로써 통합실조증의 본태를 해명하고 적절한 치료약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Saitou H.S.M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61(1)
- 잡지명
- 藥局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04~108
- 분석자
- 김*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