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리액터로서 식물의 최근발달과 새로운 기회

전문가 제언
○ 1984년 Velten 등이 유전자코딩 발현을 개시하는 것으로 알려진 프로모터 단편을 분리시킨 후 80년대 중반부터 Monsanto, AgrEvo 등 대기업은 GM 식물 이용 가능성을 주도하여 비선택성 제초제에 대한 내성유전자를 유용작물에 도입하는 연구를 시작으로 식물유전공학이 태동하게 되었다.

○ 박테리아가 운반하는 Ti plasmid는 고등식물 형질 전환용 유전자 운반체로 식물세포 내로 들어가서 식물 염색체 내에 결합되고 종양 생성을 지령한다. 재조합 식물세포를 미생물 배양과 같은 방법으로 배양하는 기술과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는 형질전환체를 개발하는 일을 식물분자농업 또는 Biopharming이라고 부른다.

○ 바이오파밍(biopharming)은 유전자이식 생물을 만드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단백 발현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상류 공정과 발현 단백을 효율적으로 회수하는 하류 공정으로 나누고, 식물에서 동물단백질을 발현시킬 때 가장 큰 문제인 단백당화 등 단백질 합성 후 과정이 정확하게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고부가가치 단백을 생산하기 위해 식물종자를 생물반응기 개념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 농촌진흥청은 공동연구로 엽록체 형질전환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작물엽록체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새로운 기능물질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엽록체는 모계유전을 하므로 화분 이외 외래유전자가 존재하지 않아 유전자변형작물(GMO) 환경위해성 문제인 유전자 비산 등 환경방출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어 식물분자농업(plant molecular farming)의 실용화가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 플랫폼이란 단어는 매우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간단하게 표현하자면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승강장(플랫폼)을 뜻하며, 앞으로 식물공장으로 인식되는 바이오리액터로서의 식물과 식물분자농업 연구의 플랫폼이 되기를 기대한다.
저자
A.K. Sharma, M.K. Shar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27
잡지명
Biotechnology Advan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811~832
분석자
옥*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