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리파아제 촉매에 의한 바이오디젤 생산

전문가 제언
○ 최근 화석 연료의 부족으로 국제 유가의 불안정성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고 국내외적으로 환경 오염문제에 대한 우려로 바이오디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바이오디젤 생산 공정의 주요 단계인 에스테르교환반응에 효소 촉매를 활용할 경우 기존 화학 촉매에 비해 환경 친화적이고 에너지 경감, 부산물인 글리세롤의 회수 용이성, 유리지방산 성분이 높은 저급 유지의 사용 용이성 등의 장점이 있다. 이 글에서는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리파아제 촉매 분야에 대한 최근 개발 동향을 기술했다.

○ 바이오디젤의 생산 공정에서 효소 촉매를 활용하는 방안이 아직 상업적으로 보편화되지 못했지만 다양한 효소를 이용해서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많은 연구들이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효소의 비용을 낮추고 생산 효율을 높임으로써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효소의 고정화, 효소 재사용, 최적 반응조건의 표준화, 전처리(초음파 등), 생물반응기 활용 등 새롭고 복합적인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어 향후 효소 촉매의 활용에 대한 빠른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 우리나라는 정부의 바이오디젤 중장기 보급 계획에 따라 2007년 이후 경유의 바이오디젤 혼합비율을 매년 0.5%p씩 상향조정해 왔으며 금년에는 약 37만㎘ 보급이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대부분의 바이오디젤 생산업체(2009년 기준 22개 사)는 원료작물(대두유 등)을 거의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제 곡물가격의 동향에 따라 원가구조(약 70% 이상)가 좌우되는 등 안정적인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효소 촉매를 이용한 공정개발 연구 및 적용을 통해 동물 지방이나 폐식용유 등 저렴한 원료의 비중을 높이고 다원화함과 아울러 미래성장 산업으로 전망되는 효소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저자
Akhil Bajaj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62
잡지명
Journal of Molecular Catalysis B: Enzymatic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9~14
분석자
황*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