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일본의 단백질 및 펩타이드 소재의 시장 동향

전문가 제언
○ 단백질과 펩타이드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는 없으나 아미노산이 2개 이상 결합된 상태로서 아미노산수가 100개까지를 펩타이드, 그 이상의 것을 단백질로 보고 있으며 펩타이드 소재는 소화흡수를 신속하게 할 필요가 있는 스포츠음료나 피로회복용 드링크 같은 특수식품 제조 원료로 적극 활용이 기대되는 소재들이다.

○ 종래부터 단백 소재는 육제품 생산에 유화성, 수율증가, 기호성, 영양보강, 결착성 그리고 식미성을 위하여 이종단백질로 식물성의 콩 단백, 밀 단백이 축육 및 어육제품에 이용되고 동물성 단백인 유청 단백 ,혈장 단백 등도 이용기술이 개발되어 자원 활용면이나 제품성에서 유익한 용도로 쓰이고 유단백인 우유 카제인은 meat binder로 오래전부터 육가공에 이용되어 왔다.

○ 그러나 최근 단백. 펩타이드 소재는 일반식품의 영양가치 강화 외에 특수목적 식품 제조에 보수성, 증점성, 유화성, 기포성 등의 기능성을 위해 주로 사용되며 식품용도로서 조제분유, 크림파우더, 분말유지 등에 이용되고 있다. 이들 단백. 펩타이드의 주 생산지역은 오세아니아, EU, 東歐이다.

○ 펩타이드 소재는 여러 단백 유래의 제품이 생산되어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도가 넓어 Masking 효과나 조직감을 부여할 목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보통 단백. 펩타이드를 이용한 건강식품은 편리성이 우수한 정제나 capsule type이 출시되고 또 배합 소재로서 많이 사용된다. 당대사나 흡수억제 등의 메커니즘에 맞지 않는 소재와 조합시킨 대사 대응제품 등도 현재 다수 출시되고 있다.

○ 대두 펩타이드는 빵효모의 냉 해동 내성부여 효과, 맥주효모 취급과 향기성분 생성, 효모의 저온스트레스 내성 등에 착안하여 발효식품 분야에 적극 사용이 제안되는 소재로 더욱 발전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supervising edito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9
권(호)
44(8)
잡지명
食品と開發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0~48
분석자
이*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