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비정상적 비-고밀도 지방단백질의 관리

전문가 제언
○ Non-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non-HDL-C)은 총콜레스테롤에서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HDL-C)을 뺀 값이며 잠재성 죽종 형성 지방단백질인 Very-Low-Density Lipoproteins(VLDL), Intermediate Density Lipoproteins(IDL), Low-Density Lipoproteins(LDL), Lipoprotein에 있는 전체 콜레스테롤을 포함한다.

○ HDL은 말초조직에서 방출된 콜레스테롤을 간이나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만드는 조직으로 운반한다. HDL은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므로 “좋은 콜레스테롤”이라고도 한다. 한편, LDL은 간에서 합성된 콜레스테롤을 말초조직으로 운반한다. LDL은 동맥경화증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물질이기 때문에 “나쁜 콜레스테롤”이라고도 한다. LDL은 구성성분으로 apoB의 한 가지 종류만 갖는다.

○ 일반적으로 LDL-C는 심혈관 위험을 줄이기 위한 치료지침의 일차 표적으로 인식되어 있다. 실제로 Triglyceride(TG)가 적당히 높을 때에도 statin 단일약품치료를 받은 환자들에서 LDL-C에 대한 목표는 달성되지만 non-HDL-C 목표에는 도달하지 못하고 apoB 목표에 도달한 사람은 훨씬 더 적다. 또한 많은 연구들은 죽종 형성위험의 마커로서 non-HDL-C, apoB, 또는 LDL 입자 농도의 사용을 뒷받침해준다.

○ 이상지질혈증 약으로는 statins과 ezetimibes가 사용된다. Statins는 주로 LDL-C를 낮추는데 사용되며, 높은 TG를 갖는 환자들에서 non-HDL-C와 apoB의 농도를 낮추는 효과도 있다. Ezetimibes는 statin과 함께 사용하면 고위험 환자들에서 non-HDL-C와 apoB의 목표달성을 개선할 수 있으나 심혈관 위험을 감소했다는 증거는 아직 없다. 이밖에 fibrate, niacin, omega-3 지방산이 TG, non-HDL-C, apoB의 수준을 낮추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 세 약품은 statin에 첨가하여 사용하면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2형 당뇨병은 만성화되면 여러 가지 합병증이 나타난다. 특히 관상동맥 질환이 위험하다.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아테롬형성 위험도 평가를 위한 마커로서 non-HDL-C, apoB 및 LPL 입자농도의 사용을 권장한다.
저자
Robert S. Rosenso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207
잡지명
Atherosclerosi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28~335
분석자
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