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결핵: 지식 결여로 인한 제어의 어려움

전문가 제언
○ 사람집단의 약 1/3이 결핵 감염에 대한 피부검사 양성반응을 나타낸다. 전염병을 퇴치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효과적인 백신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결핵에 대하여 유일하게 승인된 백신인 BCG는 작용이 제한적이며 성인 결핵에는 효과가 없어 결핵의 감소에는 큰 역할을 하지 못한다.

○ 결핵은 다른 감염성 질환과는 달리 한번 감염이 되면 평생 잠복감염 상태가 되면서 수십 년 후에도 발병할 수 있는 2차 전염원이 된다. 우리나라의 결핵이 비록 감소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다른 국가와 비교할 때 아직 심각한 것이 분명하다. 고령층의 증가, 외국인 근로자의 지속적인 유입, HIV 감염자의 증가, 새터민의 증가 등을 고려하면 향후 감소 추세가 둔화하거나 일시적으로 증가할 가능성도 예상된다.

○ 결핵에 대한 현행 화학요법은 6개월 이상 기간 동안 다수의 약물에 의한 처치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요법에서는 환자의 비협조, 부적절한 건강관리 감시 및 약물-내성 균주 증식의 증가 같은 문제들이 두통거리가 된다. 재원이 부족한 나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신속한 작용의 효과적인 약물의 필요성이 당면해 있다.

○ 그러나 새로운 약물과 백신 평가를 위한 연구에 필수적인 결핵 감염 동물모델이 없으며, 사람에서 감염여부나 활동성 질병의 진행정도를 측정할 간단하고 비침습적인 방법이 없다. 양전자 단층촬영술(PET) 및 전산화 단층촬영술(CAT)을 토대로 한 영상기술상의 최근의 진보는 이러한 부족을 메워줄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나 관찰된 병리학적 소견과 세균부하 사이의 상관관계는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극단적인 결함이 해결되려면 앞으로 몇 년은 더 걸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

○ 본 리뷰는 숙주-결핵균 상호작용 생물학의 이해에서 결핵퇴치를 어렵게 만드는 우리의 잘못된 관점을 기술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중재전략을 어떻게 세워야 할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저자
Russell, D, Barry 3rd, C, Flynn, J,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328
잡지명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852~856
분석자
오*옥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