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액정렌즈를 사용한 줌 시스템 구성

전문가 제언
○ 반사방지 코팅을 하지 않은 유리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은 입사광의 10%정도가 된다. 렌즈는 양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2면에서 반사로 손실되는 광은 무려 20%나 된다. 오늘날은 코팅기술이 발달하여 입사광의 98%이상을 투과시켜 반사로 인한 광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렌즈 설계의 자유도가 커지게 되었다.

○ 최근의 카메라 렌즈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이유로 해상력 저하를 감수하면서 대개 줌렌즈 구성으로 출시되고 있다. 줌 배율이 커지면 밝기도 저하되고 각종 수차보정도 어려워지지만 비구면 렌즈의 조합, 특수 고굴절 저분산 렌즈의 도입 등 코팅기술의 발전으로 복합 다군 렌즈의 설계가 가능해져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해 가고 있다.

○ 하지만 줌렌즈에는 많은 렌즈의 구성으로 부피와 무게가 늘어나고 있어 가능하면 소형으로 가볍게 제작하고자 하는 욕구가 잠재되어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에는 렌즈군 구성에서 평판 프레넬렌즈를 사용해서 부피와 무게를 줄이는 방안으로 실용화가 검토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액정의 전압변화에 따른 입사광의 수렴과 확대기능을 이용하여 이를 줌렌즈에 응용하려는 연구에 대해 고찰하였다.

○ 줌렌즈는 가변화각의 이점으로 TV카메라에서 최초로 사용되었다. 오늘날은 대부분의 고급 스틸카메라에서도 줌렌즈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으로 이는 줌렌즈가 가질 수밖에 없는 주변광량 저하, 해상력 저하, 이미지의 왜곡 등의 약점을 하나하나 해소해가면서 그 기능상의 이점이 더욱 부각되기 때문이다.

○ 이 액정렌즈는 일본에서 세계 최초로 시도한 것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이 액정렌즈의 연구개발 초기단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액정렌즈가 실용화 된다면 렌즈 설계에 또 하나의 이정표가 작성되는 샘이다. 줌렌즈 시스템의 획기적인 발전이 기대된다.
저자
Mao Ye, Mika Noguchi, Bin Wang, Susumu Sa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9
권(호)
63(10)
잡지명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1441~1446
분석자
홍*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