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체 추진기관의 발전
- 전문가 제언
-
○ 액체 연료를 사용한 액체 추진기관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발전추세에 대한 논문을 전반적으로 조사하였다. 우주 탐사에 적합한 것으로 고체 추진기관 보다는 액체 추진기관이 더 많은 장점을 갖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 조사된 액체 추진기관은 대부분이 서방국가에 치중해 있고 러시아는 비교적 언급이 적다. 이는 상대적으로 발표된 것이 적은 탓도 있겠고 또 러시아의 많은 액체 추진기관이 군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일 수도 있다.
○ 현재 우주 발사용으로 사용하는 추진기관에는 액체 추진기관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고체 추진기관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것은 비추력의 영향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초기 상승 단계에서는 높은 비추력으로 큰 추력을 얻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고체 추진기관의 역할이 필요하다.
○ 큰 추력을 얻는 방법으로 여러 개의 추진기관을 묶어서(clustering)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상대적으로 고체 추진기관의 묶음이 액체 추진기관보다 용이하기 때문이다. 액체 추진기관은 배관의 문제가 매우 복잡하고, 또 액체 추진기관에 사용되는 일부 고 추력 추진제의 연료와 산화제에는 독성이 포함되어 취급과 함께 환경상의 문제도 있다.
○ 우리나라는 액체 추진기관 연구가 매우 일천하다. KSR - 3에서 처음으로 액체 추진기관이 사용되었고 연료는 등유와 액체 산소였다. 금번 예정된 ‘나로호’에도 러시아제 액체 추진기관으로 등유와 액체 산소를 사용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독성이 적어 환경상의 문제점은 없으나 높은 비추력을 가지려면 다양한 추진제 연구도 필요하다.
○ 기술협력과 함께 자체적인 연구에도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기술협력에도 불구하고 많은 부분에 우리가 동참하지 못한다면 구매와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순수 자체 연구가 늦어지더라도 더 효과적인 면이 있어, 인도의 개발 패턴도 참조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Philippe Caisso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65
- 잡지명
- Acta Astronautic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723~1737
- 분석자
- 이*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