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 형광분석법에 의한 생물막 내 우라늄 화학종 분석
- 전문가 제언
-
○ 우라늄 화학종 분석은 SEM, TEM, EDX, XAFS, NMR, ATR-FTIR 등을 사용하여 분광학적으로 화학종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NMR 및 ATR-FTIR 등에 CLSM을 적용하여 시각적으로 관찰하였다. 그리고 감도가 우수한 레이저 형광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무기물 및 생물막 시료 중 우라늄 화학종을 정량하였다. 더욱이 LIFS에 CLSM을 연결하므로 생물막 내의 우라늄 및 금속원소의 화학종을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 생물막 내의 금속원소의 상호작용에 관한 보다 정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형광분석 기술의 감도를 더욱 높여야 한다. 극히 낮은 온도에서 측정하는 극저온 기술을 기존의 형광분석 기술에 적용하므로, 생물막을 포함한 생물학적 시료 중 금속원소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를 한 차원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경제적이고 성능이 우수한 폐수정화 공정을 설계하기 위해 생물막 내 금속과의 상호작용 등 여러 현상을 비파괴 방법으로 더욱 정밀하게 측정하는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 생물막 내의 우라늄 화학종 및 산화상태 등을 형광분석기술을 이용하여 시각적인 정보와 분광학적인 정보를 동시에 얻고 있다. 향후, 우라늄 이외의 형광 특성을 갖는 다른 악티나이드 원소에도 이들 기술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즉, Am(III)과 Cm(III)의 화학종을 생물학적 시료에서 직접 비파괴 방법으로 측정하므로, 생체 내에서 이들 원소의 화학적 및 방사화학적인 거동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현재 국내 연구기관에서 TRLFS를 이용하여 수용액 중 우라늄 화학종을 μg/L 수준에서 측정하고 있으며, 국내 타 기관에서도 CLSM을 이용하여 생약 중의 성분원소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같은 연구기관에서 TRLFS와 CLSM을 연결하여 지하수 중 미생물에 의해 U(VI)로부터 환원되는 U(IV)의 양을 알기 위해 U(VI) 화학종의 형광을 측정하는 시스템이 구축될 예정이다. 따라서 국내에서 우라늄 화학종에 대한 형광 측정기술은 높은 수준에 와 있으나, 생물막 시료에 적용하는 기술은 초기단계에 있다.
- 저자
- Thuro Arnold, Kay GroBmann, Nils Bauman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396
- 잡지명
- Analytical and Bioanalytical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641~1653
- 분석자
- 조*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