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은하계에서의 광합성

전문가 제언
○ 중심성(中心星) 주위의 생물이 살 수 있는 영역은 생명체로 진전시키는데 필요한 적당한 표면온도를 가진 지구와 같은 행성으로 한정된다. 현재 살 수 있는 영역을 계산하는 몇 가지 모델이 있다. 모델의 하나는 행성 표면의 액체상 물의 존재에 대한 기후적 제약을 활용하는 것이고, 다른 방법은 거주할 수 있는 지역 범위가 광합성의 한계와 관련된 지구 통합시스템에 기초한 것이다.

? 후자의 경우 주요 별 주위에서 별들의 순서와 광합성을 지속해서 생물이 살 수 있는 지역(pHZ)의 진화는 쉽게 측정할 수 있다.

? 은하계에서 원시적이고 복합적인 생명체(식물과 동물)가 서식하는 지구와 유사한 평균 행성 수는 지구와 같은 행성의 합성비율을 이용하는 pHZ 계산에 의해 측정된다.

○ 원시적 생명 복합체를 품고 있는 행성 수는 적어도 원시적 생명체의 수보다 2차 함수적으로 적을 것이다. 복합적 생명체의 최대 출현은 15억 년 전이었고 지금은 감소되고 있다.

○ 거주할 수 있는 지역 추정에 기초해, 복합적 생명체가 오늘날 은하계에서 실제로 ‘드물지’는 않을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 본 리뷰는 실용화하고는 거리가 먼 기초적 학문분야로서 우리나라에서의 연구사례는 별로 없는 것 같고, 응용하는 데에도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현재 NASA와 ESA에서는 산소적 광합성에 의해 만들어지는 생명체의 생체신호로서 O2나 광분해산물 O3을 밝히려고 계획하고 있다.
저자
Werner von Bloh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178
잡지명
Plant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85~490
분석자
김*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