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데닌유도체를 이용한 당뇨병 및 다른 질환의 치료방법
- 전문가 제언
-
○ 미국 당뇨병학회는 제1형 당뇨병을 인슐린 의존형과 다시 췌장 인슐린 분비세포가 파괴되어 절대적인 인슐린 부족이 초래된 면역매개성 당뇨병과 아직 그 원인이 확인되지 못한 특발성 제1형 당뇨병으로 나누고 있다. 제2형 당뇨병은 비만형과 비비만형으로 나누며 약 90%를 차지한다. 당뇨병이 인간사회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그 특유한 만성합병증인 당뇨병 망막증,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신경장해가 주체가 되며 아울러 심혈관질환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 최근에 많은 제약회사가 관심을 가지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GLP-1 유사체나 DPP-IV 억제제들은 혁신적인 당뇨병 치료약 개발의 표적이 되고 있다. 이들 중 일부 약물은 현재 임상시험을 통해 그 효과와 안정성이 증명되고 있으며 미래의 당뇨병 치료제 영역을 넓힐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AMPK는 세포의 에너지가 부족하면 활성이 증가하여 대사관련 효소들을 조절하는 인자로 당뇨병, 비만 등 여러 대사질환의 치료제 개발 표적 유전자로 큰 주목을 받아왔다
○ 아데닌은 4종의 푸린과 피리미딘계열의 핵 염기중 하나로서 생물의 여러 대사와 DNA 및 RNA의 형성에 관여한다. DNA에서는 티민과 염기쌍을 이루며 RNA로 전사될 때에는 우라실과 상보적인 관계를 맺는다. 생체에서는 인산과 결합하여 아데닐산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유리된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찻잎에서 간혹 발견된다. 아데닐산이 될 경우 결합된 인산의 수에 따라 생화학적 기능성 물질인 AMP, ADP, ATP가 된다.
○ 본 발명에서 메틸화된 3종의 아데닌 유도체는 화학구조상 기존의 유도체와는 상이하며 이 유도체들이 지나친 저혈당 없이 인슐린 민감성을 증가시키고 다른 질환치료 가능성이 높다는 것은 바람직한 새로운 성과이며 좀 더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작용기전들이 구명됨으로서 부작용 없는 새로운 당뇨병 치료제가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UNIVERSITY OF CHICAGO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02492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9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