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산업자재용 섬유와 용도 전개

전문가 제언
○ 산업자재용 섬유는 산업의 넓은 분야에 걸쳐 대량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그 기술 개발을 주도해 오고 있는 것은 자동차 타이어에 사용되는 타이어코드다. 자동차의 발전과 함께 타이어의 수요가 확대되고 동시에 고성능 타이어가 개발되어 그것을 지탱해 온 것은 타이어코드 섬유의 신소재 개발과 고성능화였기 때문이다.

○ 의류용 섬유와 산업자재용 섬유에서는 연구 기술 개발 대상의 차원이 2오더 정도 다른 것이 특징이다. 최근 산업자재용 섬유에서도 의류용 섬유의 특징인 형태 제어 기술, 복합이나 단면 형상을 적절히 이용하여 신제품 개발에 성공한 사례도 있으나 기본은 섬유의 미세구조 제어다.

○ 분자쇄가 고도로 배향된 극한 구조 섬유의 특징은 초고강도?고탄성율을 발현한다. 제품의 사례로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아라미드:「Kevlar」나 「Twaron」), 전방향족 폴리에스테르(「Vectran」), 폴리파라페닐렌벤조비스옥사졸(PBO:「Zairon」) 등의 강직한 고분자 구조를 갖는 섬유, 그리고 유연한 초고분자량 고분자로 된 초고강도?고탄성율 폴리에틸렌 섬유(「Dyneema」나「Spectra」)가 있다.

○ 한국은 자동차, 타이어 등의 산업 발전과 함께 타이어코드를 중심으로한 산업용 섬유 생산의 중심국으로 발전해 왔다. 폴리에스테르 타이어코드의 경우 해외 현지 공장 등을 포함하여 세계 1위 기업도 한국 기업이다. 그러나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 이외의 소재 부문에서는 아직 미흡한 부분이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 한국의 경우 핵심 원천 기술 측면과 대량 생산에 의한 가격 경쟁력 측면의 한 가운데서 어정쩡한 상태라 할 수 있다. 선진국과의 기술 경쟁과 후발국과의 가격 경쟁을 극복하기에는 국내 섬유 업계의 연구 개발 역량이 총체적으로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이유 중의 하나가 중소기업 비중이 98% 이상인 점이다. 따라서 정부, 대기업, 중소기업 간에 효율적인 협력관계가 절실히 필요하다. 정부 차원에서는 섬유의류 전략기술, 미래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기초 및 원천기술에 적극적인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저자
Saitoh Zi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44(12)
잡지명
加工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733~738
분석자
이*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