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신경퇴행성 질병의 미토콘드리아 치료제

전문가 제언
○ 포항공과대학교 정성기 교수팀은 영국의 “Chemical Communication" 인터넷판 2009. 6. 22자에 ”소르비톨이라는 약물전달체를 이용하여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대표적 약물인 지도부딘(azidothymidine)을 생쥐의 혈뇌장벽(Blood-brain barrier)을 투과하여 뇌조직으로 전달하는 데 성공하였다“고 밝혔다.

○ 이 약물전달체에 부착된 많은 종류의 약품이 미토콘드리아에도 높은 선택성을 보임으로써 미토콘드리아 질병으로 알려진 알츠하이머병, 헌팅턴병, 루게릭병 등과 같은 난치성 중추신경계 질환의 치료제를 뇌조직으로 전달하는 데에 응용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는 근육신경계 질병에서부터 신경퇴행성 질병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를 통해 유전적 또는 산발적인 신경퇴행성 질병의 원인은 미토콘드리아 이상으로 밝혀지고 있다. 그 원인에는 과도한 free radical 생성, ATP 생산량 감소, 미토콘드리아 이온 투과도 전이, 미토콘드리아 DNA 손상, 미토콘드리아의 동적 평형의 불안정 및 자기사멸 등이다.

○ 미토콘드리아 치료제는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로 인한 신경퇴행성 질병을 치료하려는 전략으로서 아직 초보 단계에 있지만 가치 있는 분야로 부각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항산화제 사용, 미토콘드리아 투과성 전이 억제 및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치료 등 미토콘드리아 치료법을 소개하고 있다.

○ 영국 뉴캐슬 대학 연구팀은 2010년 4월호 “네이처” 지에서 “Freeing human eggs of mutant mitochondria"라는 논문에서 미토콘드리아를 제거하여 수정된 사람의 난자의 핵에 존재하는 유전물질을 다른 수정된 난자에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이 기술은 미토콘드리아 DNA 돌연변이로 인한 유전질환 예방에 희망적인 결과이다.

○ 강남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이영목 교수는 올해 1월 국내 처음으로 미토콘드리아 질환의 진단법과 치료 체계를 확립했다.
저자
Heng DU, Shirley ShiDu Ya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42
잡지명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 Cell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560~572
분석자
장*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