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속기 질량분석에 의한 바이오매스의 C-14 함유율 측정방법
- 전문가 제언
-
○ 석유 제품을 연료로 사용하거나 또는 폐기물로 소각처리하면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CO2를 배출한다. 이에 비해 바이오매스(biomass)는 연료로 사용하거나 또는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사용한 제품의 폐기물을 소각해도 CO2의 발생을 증가시키지 않는(zero emission) 재생가능 재료이다. 현재 바이오매스는 연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전 세계의 바이오에탄올 생산량은 5억ℓ를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바이오매스는 연료 외에도 많은 공산품에서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하여 생산될 가능성이 있는 공산품으로는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디젤 외에도 계면활성제, 염료 그리고 바이오 플라스틱 등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폐기물의 처리와 환경 관점에서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의 개발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 공산품에서 바이오매스 함유율의 측정 척도인 방사선동위원소 C-14의 농도는 액체 신틸레이션 계측기(LSC)와 가속기 질량분석(AMS) 장치로 측정할 수 있는데, LSC는 바이오에탄올 등이 혼합된 가솔린과 같은 액체시료의 바이오매스 탄소의 함유율 측정에 이용된다. 반면에 AMS는 기체 시료와 고체 시료의 바이오매스 탄소의 함유율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대부분의 유기화합물과 무기화합물의 바이오매스 탄소의 함유율 측정에 사용할 수 있다.
○ 지구온난화와 환경보전 관점에서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사용하는 제품이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도 녹색성장산업의 일환으로 바이오매스 이용 산업의 진흥에 노력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세금 감면 또는 보조금 지급 등과 같은 정책적인 인센티브가 필요하다. 따라서 공산품의 바이오매스 함유율에 대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측정 및 검증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저자
- Masao KUNIOK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9
- 권(호)
- 58(11)
- 잡지명
- Radioisotop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767~779
- 분석자
- 이*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