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생산의 친환경적 방법과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현대의 문명은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탄소질의 물질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이들 탄소질의 물질은 내연기관에 사용되는 탄화수소에 기초한 연료, 그리고 전력발전에 사용된 석탄과 다른 연료가 포함된다. 근래에 인도와 중국과 같은 신흥국가들의 연료 수요 증가와 원유의 제한된 생산에 의하여 액체연료의 가격이 상당히 증가하게 되었다. 액체연료의 생산을 증가하기 위해서 생산의 저비용 대체적인 방법들이 점점 증가하는 수요의 충족이 필요하게 된다.
○ 현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한 과정은 1차 에너지 생산기술의 1차 부산물이 2차 에너지 생산기술에 응용되고, 그리고 2차 에너지 생산기술의 2차 부산물은 3차 에너지 생산기술에 응용되도록 셋 이상의 에너지 생산기술의 통합을 포함한다. 또 이 과정은 1차 부산물의 일부가 적어도 2차 에너지 생산기술의 동작에 이용되고, 2차 부산물의 일부는 3차 에너지 생산기술의 동작에 이용될 수 있도록 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통합된 에너지 생산기술의 동작을 포함한다.
○ 국제 에너지기구의 보고서에 의하면 에너지 공급과 사용방식에서 전 세계 에너지 혁명이 요구되고 있다. 저탄소 기술에 대한 미래 수요에 대한 장기정책의 확실성 수준을 제고하는 데 정부정책의 급격한 전환이 요구된다. 기존 추세의 연장시나리오에 따른 2050년의 전 세계 배출량의 3분의 1 이하만이 OECD 국가들에게 기인한다는 전망치를 염두에 둔다면 모든 주요 국가들 간에 전례가 없는 수준의 협력이 요구된다.
○ 우리나라도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망치 대비 30% 감축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매년 급증하는 소비전력을 감당하기 위해 최근 10년 동안 발전량이 70% 이상 늘면서 온실가스 배출량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는 화력발전이 전기 에너지 생산량의 50%를 차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우리는 전술한 발명 특허 “에너지 생산의 친환경적 방법과 시스템”을 참고하여 더욱 많이 연구 개발하기를 바란다.
- 저자
- Knight, Royn C., Onjukka, Rolf L., Dotle, Patrick J.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08500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44
- 분석자
- 김*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