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당류 백신

전문가 제언
○ 당류 백신에 관하여 기초연구를 하는 국내 연구진은 거의 없는 상태이고 한국백신, SK케미컬, 중앙백신연구소 등 몇 기업체와 연구소에서 이와 관련된 백신의 수입 판매와 응용연구를 하고 있다.

○ 당류를 백신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오래전부터이나 항생제의 출현으로 당류 백신의 발전은 지연되었다. 그러나 항생제의 내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아직은 야심적 과학자들이 도전할 수 있는 블루오션이다.

○ 이 분야의 발전 방향은 세포 표면에 있는 다당류 상의 에피톱을 찾아내고, 구조를 밝히고, 유사체를 합성하여, 캐리어 단백질에 결합시켜 백신을 만들고, 이 백신의 항원성을 증진시키는 항원보강제를 찾아서 제품을 만드는 과정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 당생물학의 발전으로 에피톱을 찾는 일은 많은 발전이 있었다. 특히 구조를 밝히는 일은 Glycomics의 발전으로 수월하게 되었다. Proteomics와 함께 발전한 질량분석기의 놀라운 발전은 Glycomics 시대를 열게 하였다. Glycomics 분야의 국내 실정은 너무나 취약하고 장비 또한 열악한 상태다. 전략적으로 발전시켜야 할 분야로 판단된다.

○ 일단 에피톱의 구조가 밝혀지면 새로운 화학 및 효소적 방법을 이용한 올리고당의 합성을 통한 combinatorial library를 찾아보는 일이 있다. 화학자들은 이 분야의 큰 발전을 이루어 놓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잡한 구조의 올리고당을 합성하는 것은 아직도 어려운 과제다.

○ Optimer Pharm. 등 몇 개의 회사들은 당류 백신의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C&EN Vol82(32), pp31-35, Aug. 9, 2004). 우리도 항생제 내성의 심각성을 고려하여 이러한 분야의 연구와 백신 개발에 정책적 지원을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저자
Rena D. Astronomo and Dennis R. Burto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9
잡지명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08~324
분석자
김*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