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 티베트 마을의 기후변화와 현지의 시각
- 전문가 제언
-
○ 티베트 고산지대마을의 기후변화에 대한 원인과 영향은 전 지구적 기후변화의 원인과 영향의 틀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기후변화의 원인에는 천문학적 원인, 지표의 변화, 대기조성의 변화 등이 있으며, 그 대표적 영향에는 이상기후, 사막화현상, 해수면 변동 등을 들 수 있다.
○ 천문학적 요인에는 태양활동의 변화, 지구자전축의 경사, 세차운동, 공전궤도의 이심률 변화 등이 있고, 지표 변화 요인에는 대륙이동, 조산운동 등이 있으며, 대기조성 변화 요인에는 주로 화산진, 이산화탄소, 메탄과 같은 온실기체 등이 있다.
○ 그리고 기후변화의 시기는 과거(역사시대, 지질시대), 현재, 미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역사시대 기후변화는 옛 문헌의 기록과 고고학적 조사를 통하여 추정하고 지질시대 기후변화는 빙하의 흔적, 퇴적물의 성분, 화석 등으로 추정하며, 현재의 기후변화는 기온과 강수량 등의 변동을 조사하여 알 수 있다.
○ 티베트 고산지역의 기후변화는 주민의 지식, 인식 및 생활체험과 가까운 관계를 보이는데, 경제 및 정치적으로 낙후되어 있기 때문에 기후변화가 미치는 영향에 약하고 빠른 환경변화를 겪고 있다. 그 영향은 물질적인 것 외에 토속적인 종교(성산, 산신 등)와 관련된 정신적 영역에도 영향을 미친다. 다수 주민은 성산의 침범과 훼손, 신의 모독 등이 기후변화의 원인이 되고 피해를 입게 되는 것으로 믿고 있다.
○ 지구의 기온변화를 보면 1880~1940년에 상승, 1940~1970년에 하강, 1970년 이후에 다시 상승하였고 특히 1970년대 이후의 전 지구적 기온상승은 대기 중 CO2의 온실효과가 주원인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티베트 주민은 종교와 정신적인 원인으로 보는 것이 세계적인 시각과 다르며, 국지적인 기후변화는 전 지구의 기후변화와 일치하는 것이 아니고 지역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세계적인 기후변화는 국지적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 저자
- A. Byg, J. Salick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19
- 잡지명
- Global Environmental Chang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56~166
- 분석자
- 이*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