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기능의 롤 간 습식 코팅 장치
- 전문가 제언
-
○ 최근 들어 컨버팅 테크노로지(Converting Technology)라고 부르는 가공기술이 각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플라스틱 필름/시트, 금속박, 종이, 판지, 부직포, 섬유, 강판, 유리 등의 비교적 얇은 바탕재료에 도포(coating), 적층(laminating), 프린팅(printing) 등의 새로운 가공으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는 가공기술을 말한다.
? 컨버팅은 코팅, 래미네이팅, 프린팅, 슬리팅 등 다채로운 요소기술을 조합시킨 ‘집적기술’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이를 통해 농업/원예, 건축/토목, 정보/통신, 전력, 교통/운송, 의료/헬스 케어, 보안, 환경, 방재 등 폭 넓은 분야에서 현대사회가 만들어 내는 여러 가지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데 활용되고 있다.
○ 코팅 기술(Coating Technology)은 역사적으로 보면 고대 이집트의 파피루스(Papyrus)를 이용한 종이 대용품 제조 과정에서 시작되었다고 말 할 수 있다. 그만큼 역사가 깊고 우리 생활 주변에서는 여러 가지 형태로 실용화 되어왔다. 코팅 장치의 경우도 만드는 사람에 따라 독자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일정한 기준으로 분류를 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다. 코팅 방식의 분류는 코팅 도막의 형상, 도포액의 계량방법, 장치의 구성 및 액조(chamber)의 형상에 따라서 분류하고 있다.
○ 코팅 장치 중에서 효율성과 양산에 적합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롤 간 코팅 장치(Roll to Roll Coater)이다. 이 중에서 다이 코터(Die Coater) 방식은 다이라는 금형에 의해서 폭 방향으로 균일한 도막을 형성하고 이를 바탕재료에 접촉시켜 도포를 하는 방식이며, 도포액의 안정성을 높여 고품질의 도막을 얻을 수 있어 기대되는 코팅 장치이다.
○ 우리나라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세계 상위권에 속하지만 장비의 국산화는 아직도 미흡하여 미국이나 일본에 의존하는 바가 크다. 산?학?연?관에서는 장비의 국산화를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기는 하지만 무엇보다도 완성품 제조업체와 장비업체 간의 기술협력관계가 신뢰를 바탕으로 해서 이루어 져야만 경쟁력 있는 국산화가 성과를 거둘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Katsuhiro OMOR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60(7)
- 잡지명
- 表面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435~440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