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 생체모방 막용 지지체
- 전문가 제언
-
○ 멤브레인의 전체 시장규모는 1997년 12억 달러에서 2017년의 76억 달러로 2007년 대비 연평균 9%의 성장을 전망하고 있다. 멤브레인은 수처리 분야가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지만 멤브레인 기능을 고효율화하기 위하여 멤브레인 표면을 코팅하거나 멤브레인에 생체 모방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 덴마크의 아쿠아포린과 단포스 아쿠아 등은 생체 내 세포에 있는 멤브레인 단백질을 멤브레인에 적용, 생체 모방 개념을 통해 기존 대비 선택성을 10배까지 높이는 성능을 보이고 있다.
○ 이온채널 펩티드 및 막 관통형 단백질과 같은 기능성 분자를 가진 인공 지질 이중층을 포함하는 막은 공통적으로 경시안정성과 기계적, 전기적 및 화학적 충격에 대한 안정성이 필요하다.
○ 평면 지질이중층은 일반적으로 두 용액구획을 분리하는 지지체 또는 격막의 개구부 내에서 지지된다. 각종 소수성 물질이 지지체로 사용되고 있다. 지질 또는 양쪽친화성 이중막 제조를 위한 유용한 물질은 테플론필름과 소수성을 가진 막 재료이다. 이 발명에서는 막 재료로 폴리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FE) 물질을 사용하고 있다.
○ 최근의 특허로는 ETHICON INC [US]; YANG CHUNLIN [US]; KONG WEI [US] 출원의 지지체의 빈 공간으로 부분적으로 침투하는 피막을 가진 지지체(WO2009085548, 2009-07-09); CORNELL UNIVERSITY [US]출원의 폴리에스테르아미드를 기반으로 하는 바이오메디컬용 섬유막(WO2009102451, 2009-08-20) 등이 있다.
○ 한국에는 ETFE를 사용한 복합 생체모방 막용 지지체 제조기술은 아직 사용되지 않고 있다. 특히, 이 기술은 작업 중 막지지체가 불안정하지 않고, 기능성 지역에 다수의 다공지역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복합 생체모방 막을 포함하는 순수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장치 개발에도 많은 영향을 줄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 저자
- AQUAPORIN A/S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74155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91
- 분석자
- 성*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