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비만치료와 지방세포의 지방분해 조절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의 비만 비율은 3.5%로서 OECD 국가 중 가장 낮다. 그러나 국제 당뇨병연맹에 의하면 현재 1억 9천만 명 이상의 세계인이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인구증가, 노령화의 진전, 도시화와 정적 생활방식으로 인슐린 저항성과 2형 당뇨병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2형 당뇨병환자의 80%가 진단시점에서 과체중으로 파악된다.

○ 지방세포에서의 지방분해, 즉 triacylglycerol(TAG)이 가수분해 되어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방출되어 다른 장기에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은 백색 지방조직의 독특한 기능이다. 지방세포에서의 지방분해는 세포액의 지질방울 표면에서 일어난다. 이 지질방울은 지방대사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세포기관으로서 최근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 지방세포에 존재하는 desnutrin/ATGL은 진정한 TAG 가수분해 효소로 평가되고 있다. 사람 desnutrin/ATGL/PNPLA2 유전자에 돌연변이와 Neutral Lipid Storage Disease와 관련되어 있다. 게다가 최근 adipose phospholipase A2가 확인됨에 따라 Prostaglandin E2에 의한 지방분해의 autocrine/paracrine 조절이 발견되었다.

○ 프랑스 국립보건의학연구소의 연구자들은 2009년에 Cell Metabolism지에 실린 논문에서 비만과 2형 당뇨를 연결 짓는 연결고리를 발견하였다고 발표하였다. 비만환자의 ?백색지방세포에 상주하는 대식세포?(white adipose tissue resident macrophage)가 분비하는 CXCL5라는 chemokine이 인슐린 신호전달을 저해함으로써 인슐린 저항성과 2형 당뇨를 유발한다고 하였다.

○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유전학과 고정민 박사는 2009년에 대한소아내분비학회지에 “2형 당뇨병의 새로운 치료”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2형 당뇨병을 가진 소아의 치료를 위한 새로운 경구용 약제로 인크레틴 유사작용제, 아밀린 유사작용제, 엔도카나비노이드-1 수용체 길항제가 소개되었으나 이 약제들은 모두 소아에서 안정성이 입증되지 않았고 사용 또한 아직 허가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임상연구 또한 매우 제한적이다.
저자
Maryam Ahmadian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42
잡지명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 Cell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555~559
분석자
장*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