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강도와 연성의 양립을 가능케 하는 복층강판의 설계지침

전문가 제언
○ 인장강도 1.3GPa, 파단연신율 25% 이상의 강도-연성 특성을 갖는 강 소재는 현재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재래의 재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재료의 복합 개념으로는 불가능하다.

○ 이 논문에서는 고강도 마르텐사이트강과 고연성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복층화 하여 복층재 구성재료의 선택, 구성층의 기하학적 설계, 계면접합 프로세스를 최적화해서 현재까지 실현되지 못했던 인장강도 1.3GPa, 파단연신율 25% 이상의 강도-연성 특성을 갖춘 복층강의 설계가 가능함을 밝히고 있다.

○ 현재 국내에서 실용화 단계의 자동차용 고강도 강재로는 최고 800MPa급 TRIP(Transformed Induced Plasticity)강재가 개발되어 있으며, TWIP(Twinning Induced Plasticity) 프로세스 등 새로운 프로세스를 이용한 1.0GPa 이상의 고강도, 고연성 강재에 대한 실험적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이들 강재의 인성과 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문제이며, 현재까지 800MPa 이상의 고강도 강재의 연신율은 대략 10% 내외에 그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 차세대 고속이동체용의 구성 재료는 재래의 특성을 뛰어넘는 고강도와 고연성 밸런스 특성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자동차, 항공기를 위시한 각종 구조물 산업의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국내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소재 산업기술의 개발 노력이 보다 활성화 되어야 하며, 이러한 의미에서 이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새로운 소재 개발기술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저자
INOUE,NAMBU,MICHIUCHI,KOSEK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80(4)
잡지명
金屬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76~282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