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세라믹스로 구성된 리튬이온전지
- 전문가 제언
-
○ 이차전지의 개발은 국가산업 발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산업이므로 여러 나라가 이 분야의 연구개발에 국가적 지원을 아끼지 않는 실정이다. 이차전지 중에서 가장 성능이 우수한 것이 1991년도부터 양산이 시작된 리튬이온 이차전지이다.
○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현재 연간 수십억 셀(cell)이 생산되어 휴대전화, 노트북 PC 등의 휴대형 전자기기나 전동공구 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LiCoO2/유기물 액체전해질/흑연으로 구성된 현재의 리튬이차전지를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자동차 등에 사용하기에는 가격, 사이클, 수명, 안전성 등과 관련해서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가 있다.
○ 리튬이온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상용화된 것이 리튬폴리머전지이다. 이 전지는 고분자 겔 형태의 전해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리튬이온전지보다 안전성이 우수하고 별도의 보호회로가 필요 없다. 그러나 리튬폴리머전지는 성능과 수명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 발표된 LiCoO2 양극재료 입자에 Li4Ti5O12로 피복하는 방법으로 안전성과 전지성능을 해결한 점은 매우 획기적인 기술이라고 본다.
○ 리튬이온전지를 생산하는 제조사는 성능의 향상과 품질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회사의 사활을 걸고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개발 성과는 기업 내의 노하우로 관리되어 외부에 알려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는 학계, 정부 출연연구소와 연계하여 특허로 출원되기도 한다.
○ 우리나라는 리튬이차전지를 대량 생산, 소비하는 국가 중의 하나다. 굴지의 대기업은 물론이고 많은 중소기업이 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그리고 정부에서도 이미 국책과제로 선정하고 적극적인 지원책을 펴고 있다. 가까운 장래에 일본의 기술을 능가하는 새로운 기술이 탄생될 것으로 확신한다.
- 저자
- Kazunori Takad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9
- 권(호)
- 22(12)
- 잡지명
- マテリアル インテグレ-ション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9~14
- 분석자
- 허*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