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최근 10년간 개발된 현가장치 기술

전문가 제언
○ 현가장치(Suspension)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 시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체나 하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섀시 스프링과 쇼크 업소오버 및 스태빌라이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전륜 현가장치는 차축 현가 식과 독립 현가 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승차감이나 조종 성을 중요시하는 승용차에서는 독립 현가 식을 많이 사용하고, 버스나 트럭에서는 차축 현가 식을 많이 사용한다. 후륜 현가장치는 일반적으로 차축 현가 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승용차에서는 승차감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독립 현가 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 맥퍼슨 형은 조향 너클과 일체로 되어 쇼크 업소오버가 설치된 스트러트와 현가 암, 볼 조인트,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근에 생산하는 승용차의 앞 현가장치는 대부분 맥퍼슨 형 현가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위시본 형은 바퀴에 발생하는 제동력이나 선회 구심력은 모두 서스펜션 암이 지지하고, 스프링은 수직방향의 하중만을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 전자제어 현가장치는 주행속도와 도로조건에 따라 차체의 자세를 제어하여 주행안정성과 승차감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새로운 기술이다. 능동형 현가장치인 ABC(Active Body Control System)는 Benz에서 개발한 시스템으로서 승차감은 수동 댐퍼를 사용하여 확보하고 유압 실린더를 사용해서 코일 스프링의 변위를 능동적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자세제어는 물론 급속 차 높이 조절까지도 가능한 시스템이다.

○ 현가장치는 수동형 댐퍼에서부터 능동형 현가장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능을 갖춘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향후에는 차량의 주행 안정성 과 승차감 향상을 위해 능동형시스템이 확대 적용되고 전자제어현가장치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존의 유압제어 방식에서 전기 모터 구동방식(suspension-by-wire)으로 기술개발 방향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기술개발이 향후 과제로 판단된다.
저자
Kataro Shi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0
권(호)
64(1)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52~57
분석자
진*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