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소에 의한 비만치료
- 전문가 제언
-
○ 지방세포가 증가하거나 크기가 커져 비만이라는 생리적 표현형이 임상적으로 성인병이라 불리는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등의 위험률을 높인다는 사실은 많은 역학조사에서 밝혀졌고 실제로 체중감소가 이러한 질환의 발병률을 현격히 감소시킨다는 사실도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실들의 원인을 규명함에 있어서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다양한 물질과 각각의 생리작용을 규명하여 보다 직접적인 각 질환의 병태생리를 밝히기 위해서는 비만을 단지 외형적인 현상이 아니라 내분비조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 Lipase는 혈액·위액·췌장분비액·장액에 들어있는 지방분해효소로서 대부분의 소화는 소장강(小腸腔)에서 일어나며 담즙염은 리파아제가 지방의 구성성분인 트리글리세리드 분자를 공격할 수 있게 해 준다. 혈액에서 샘[腺]이나 복강으로 리파아제가 분비되면 조직에 저장되어 있는 지방이 분해된다.
○ 폴리머의 일종인 식이섬유는 인간의 소화효소로서는 가수분해 되지 않고 배설되는 난소화성 다당류를 총칭하는 말이다. 주로 식물의 세포벽 또는 종자의 껍질부위에 분포하므로 과일과 채소 그리고 해조류에 널리 함유되어 있다.
○ 난소화성 폴리머의 특성은 점성이 강하며 젤리를 만드는 펙틴을 비롯하여 한천, 해조류에 있는 알긴산, 곤약에 있는 글루코만난, 근래에 건강보조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는 키틴(키토산)도 식이섬유에 속한다.
○ 효소들은 각기 다른 형태의 활성부위를 가지고 있으므로 자신의 활성부위에 알맞게 결합하는 특정한 기질하고만 상호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효소의 활성부위의 입체구조가 기질의 입체구조와 맞물릴 수 있는 형태일 때에만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효소에 의해 triglyceride로부터 acyl기나 지방산을 비소화성 화합물에 전달함으로서 비만을 치료하고자 하는 본 발명은 특이성 있는 새로운 비만 및 관련 질환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높여준다.
- 저자
- NOVOZYMES AS, TOENDER JANNE EJRNAES, LOBEDANZ SUNE SAUER, JOHANSEN CARSTEN JAEGER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20693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1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