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데이터베이스에서 질의 인터페이스 매칭의 증거에 의한 방법
- 전문가 제언
-
○ 매칭 질의(質疑 : query) 인터페이스는 여러 웹 데이터베이스에 걸쳐 데이터를 통합하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단계이다. 이 문제는 스키마(schema)들의 서로 다른 특징을 전형적으로 추구하는 스키마매칭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그러나 스키마의 특정한 특징에 의존하는 매칭은 불충분하다.
○ 스키마는 추상적이고 그래픽 상징을 사용한 시스템의 원소를 나타내는 일종의 다이아그램이고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지원되는 형식 언어로 서술된 테이블, 관계성, 뷰, 인덱스, 패키지, 절차와 함수, 질의와 데이터베이스 링크 등과 같은 객체를 정의한다. 스키마 매칭은 의미론적으로 관련된 두 객체를 확인하는 일종의 프로세스이다.
○ 증거에 의한 추론(evidential reasoning)은 유틸리티(utility) 이론과 증거 이론에 기반을 두고 최근에 개발된 방법이다. 이 방법은 불확실성을 가진 평가를 모델화하기 위하여 신념(belief) 구조를 사용한다. 특히 Dempster?Shafer 이론은 증거의 수학적 이론으로 여러 가지 소스(source)로부터 증거를 결합하고 모든 가능한 증거를 고려한 신념의 정도를 결정함으로서 불확실성에 관련된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 이 논문에서는 Dempster-Shafer 이론을 사용하여 다중 매칭자를 결합하기 위한 증거에 의한 방법을 제안한 것이다. 이 방법에서는 증거의 소스로서 개별 매칭자의 매칭 결과들을 관망하고 결합된 밀집 집단(mass) 함수를 얻기 위하여 다중 증거 소스들을 결합한다. 그 다음에는 이를 기반으로 타깃(target) 스키마로부터 각 소스 대응들의 속성을 선발하고 이들 대응들 사이에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경험적 방법을 제시한다.
○ 다양하고 이질적인 웹 데이터베이스의 통합은 가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서 비 반복적이고 임의적인 질의에 신속하고 정확한 응답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므로 신념함수 또는 증거함수와 같은 불확실성 이론에 기반을 두고 매칭자를 통합하는 방안도 하나의 대안이다. 이런 관점에서 이 방법의 전개는 주목할 만한 접근방법이다.
- 저자
- Jun Hong, Zhongtian He, David A. Bel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0
- 권(호)
- 35
- 잡지명
- Information System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40~148
- 분석자
- 김*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