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해당과정 : 생물에너지 경로 혹은 생존 경로

전문가 제언
○ 별아교세포와 뉴런에서 포도당의 이용에 차이를 보인다. 미토콘드리아호흡 억제에 의하여 뉴런은 빠르게 죽지만, 별아교세포는 당 분해로 생성된 ATP를 이용하여 미토콘드리아 막 잠재력을 증가시킨다. 별아교세포는 뉴런보다 프로그램된 세포사멸의 자극에 대하여 더 내성을 갖게 된다.

○ 별아교세포는 당 분해과정을 촉진시키는 효소 PFKFB3을 발현시키고, 이 효소는 해당과정 속도를 제한하는 효소 PFK1을 활성화한다. PFKFB3은 APC/C-CDH1에 의해 유비퀴틴화된 다음에 단백질 분해효소의 붕괴를 위하여 표적이 된다. 그런데 APC/C-CDH1의 활동이 별아교세포에서 낮다. 반대로 APC/C-CDH1 활동은 신경세포에서 높기 때문에 PFKFB3는 지속적으로 붕괴된다.

○ 이것은 신경세포에서 당 분해 속도가 낮아지고, 항산화제를 생성하고 생존을 촉진시키는 PPP를 통해 glucose-6-phosphate의 전환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신경세포에서 포도당 물질 대사는 환원형 글루타티온의 재생을 유도하는 PPP에 의하여 주로 통제받는다.

○ 신경계가 뇌 생리학과 병태생리학과의 관련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신경계의 관측은 APC/C-CDH1이 세포 주기 단백질의 조절도 포함하기 때문에 APC/C-CDH1이 해당과정과 세포증식의 활성에도 연결될지 모른다고 보고 있다.

○ 앞으로의 연구는 신경세포가 생물 에너지학적 목적을 위하여 PPP에서 해당과정으로 이동을 하는 것인지 아니면 그들이 산화적 인산화를 위하여 대체 기질에 완전히 의지하는 지를 결정하는 것이 신경생리와 병리학적 견지에서 중요하다.
저자
Juan P. Bolanos, Angeles Almeida and Salvador Monca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35(3)
잡지명
Trends in Biochemical Scien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45~149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